광역교통 R&D 시대 연다…대광위, 수소트램·신호체계 기술 독립 추진

디지털 전환·친환경 기술 중심…“광역교통도 국가 전략산업”

Photo Image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역교통 R&D 로드맵' 설명회를 열고 향후 10년간 추진할 기술개발 전략을 공개했다. (사진=박효주기자)

수소트램, 자율주행 기반 신호체계, 디지털 환승 플랫폼 등 광역교통 미래 기술 개발이 본궤도에 오른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역교통 R&D 로드맵' 설명회를 열고 향후 10년간 추진할 기술개발 전략을 공개했다.

로드맵은 단순한 교통 편의 개선을 넘어, 대중교통 체계 자체를 디지털 기반의 신산업으로 전환한다는 국가적 전략이다. 기존 인프라 공급 위주의 접근에서 벗어나 자율주행·친환경·통합운영 기반의 기술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박박준식 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장은 “혼잡과 비효율, 노후화 등 대도시권 교통문제를 해결하려면 개별 사업 단위 접근을 넘어 교통서비스 전체를 통합 관리하는 R&D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소개된 수소트램 기술은 대전과 울산 등 지방도시에 적용할 실증사업을 올해 시작한다. 전용 시험기준과 RAMS 기반 인증 체계도 마련한다. 차세대 철도신호체계는 '지상' 중심에서 '열차' 중심으로 전환하는 국내 독자 시스템 구축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기존 외산 신호장비 의존도가 낮아지고, 장기적으로는 해외 진출도 가능할 전망이다.

실내 디지털 네비게이션과 재난예측 기능이 포함된 통합환승 플랫폼 기술도 공개됐다. GTX, 버스, PM(개인형 이동수단) 간 환승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으로,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다. 도심형 대용량 BRT도 트램 수준의 수송능력을 확보해 주요 도시권에 순차 도입된다.

이번 로드맵은 기존 기술과 제도를 근본부터 바꾸겠다는 방향성 아래 수립됐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기술이 없어서가 아니라 사업화 전략과 실행이 부족했던 게 그간의 문제였다”며 “이번 로드맵은 실증이 끝나면 바로 사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예타가 필요한 대형 과제에 대해서도 미리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교통연구원, 교통학회, 과기진흥원 등 7개 기관 관계자와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오는 5월 로드맵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