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관세 폭탄이 임박했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기계류나 자동차 부품은 국내 중소기업들이 미국에 많이 수출하는 대표 품목인데, 여기에 자동차 관세에 더해 상호관세까지 부과된다면 사실상 수출이 불가능해진다고 봐야 한다”고 토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는 2일(현지시간)부터 본격 시행된다. 철강·알루미늄 고율 관세 부과를 시작으로, 자동차 관세와 상호관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세 조치가 예고됐다.
상호관세는 중소기업에도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이는 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 미국도 동일한 수준의 보복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것으로 '공정무역'이라는 명분 아래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압박 성격이 짙다. 관세율 차이가 큰 품목이나, 미국 내 제조업 보호가 시급한 분야를 중심으로 수출 중소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단기간내 바뀌길 기대하기도 쉽지않아 보인다.
많은 중소기업은 아직 준비할 시간도, 대응 수단도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상황에서 정부 지원 체계로는 실효성 있는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10곳 중 3곳만이 미국 관세 변화에 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대다수 중소기업이 여전히 '속수무책'인 것이다.
그렇다고 손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위기라고 걱정만할 때가 아니다. 보다 전략적으로 속도감있게 움직여야 한다.
정부는 자국 산업이나 기업의 이익 측면에서 대미 협상을 해야 한다. 기업들도 전략적 거래선 확보, 판매채널 다각화 등의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부터 해야 해나가야 할 것이다. 실시간 정보 파악과 인증·규제 대응, 현지 파트너 연계 등에서도 발빠른 대응책 마련이 필수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