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 안전 질문에 킥보드 제한 답변만 제시… PM 업계 “설문이 규제 유도” 비판

Photo Image

퍼스널모빌리티(PM) 업계가 천안시에서 진행하는 공유PM 관련 설문이 PM에 대해 부정적인 선택지로 구성해 규제를 유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천안시는 여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천안시가 진행 중인 공유 PM에 대한 설문조사 중 부정적인 인식을 전제하는 질문과 답변 선택지가 상당수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2번 문항은 공유 전동킥보드와 관련한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인지 물으며 선택지로는 무단방치, 무면허, 운전미숙, 사고위험, 안전모 미착용 등이 주어졌다.


아울러 보행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전동킥보드 이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취지의 문항도 있다. 객관식 답변에는 이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선택지 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보도 주행 전면 금지 및 강력한 단속 시행 △무단 방치된 킥보드에 대한 강력한 견인 실시 △도보 밀집지역(상업지구, 관광지) 등에서의 전동킥보드 운행 제한 △킥보드 이용 가능 시간 제한 △킥보드 운영사 대상 엄격한 규제 도입(허가제, 퇴출제 등) 등이다.

이에 대해 업계는 PM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확대·재생산할 수밖에 없는 설문지라 지적했다. 이는 규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크다고 비판했다.

더불어 천안시가 전동킥보드 정책에 있어 활성화보다는 규제를 택해왔다고 꼬집었다. 천안시가 1월 발표한 PM안전 종합대책은 중점관리지역 운영, 주차금지구역 페널티 부과 등 규제를 주요 골자로 한다.

천안시는 대중교통 사각지대가 많고, 돌아가는 노선이 많으며 대중교통 배차간격이 길어 전동킥보드 이용량이 많은 지자체 중 하나로 꼽힌다. 신도시 지역 내 아파트 단지와 차량 증가로 인한 주차난의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교통 대안없이 킥보드 규제 위주 정책으로는 반감만 살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한 업계 관계자는 “천안은 젊은 인구가 많은 대학도시로 캠퍼스 주변 이동 수단으로 PM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아파트 단지가 많이 생기면서 차량이 급격히 증가하며 주차 공간이 부족한데, 이때 PM을 활성화하면 차량 이용을 줄이고 주차 문제도 완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천안시는 PM 관련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보행자 안전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천안시청 건설도로과 관계자는 “1월 PM안전 종합 대책 시행 후 실질적으로 개선된 점이 있을지 여론을 알아보고자 설문을 진행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보행자 안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규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