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산업 이중구조 해소'…인천시 주도 협력체계 가동

산업안전·근로환경 개선 위한 협력체계 구축
올해까지 지역 주도형 지원사업 추진

Photo Image
인천시청 전경.

인천광역시는 석유화학 산업의 이중구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인천 석유화학 상생협의체'를 발족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의체는 원·하청 간 고용환경 격차 해소와 산업안전 강화를 목표로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발족식에는 고용노동부, 인천시, SK인천석유화학, 주요 협력사(제이콘, 세이콘, CHM), 인천상공회의소, 학계 및 산업안전 전문가 등 12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석유화학 산업의 근로환경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인천은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석유화학단지를 보유한 지역으로,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핵심 거점이다. 그러나 대기업과 협력사 간 근무 환경 격차와 산업안전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인천시는 관계기관 및 기업들과 협력해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하고 이를 실행하기로 했다.

이번 상생협의체는 올해까지 진행되는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총 17억5000만원(국비 14억원, 시비 3억5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주요 지원책으로는 취업 장려금 및 장기근속 지원금 지급, 근로환경 개선비 지원, 근로자 문화생활 지원 등이 포함된다.

또 협의체는 반기별 정기회의와 실무협의체 운영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김진태 시 경제산업본부장은 “이번 상생협의체가 지역 주도형 산업 발전 모델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며 “모든 근로자가 안전하고 공정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