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행의 대행' 체제 마무리…경제사령탑 복귀

Photo Image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 현안 간담회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안 기각 판결에 따라 87일간의 '대행의 대행' 체제도 마무리됐다.

2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헌법재판소 결정문이 한 총리 측에 전자송달되는 시점부터 한 총리는 업무에 복귀한다.

이에 따라 최상목 부총리는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라는 직함을 떼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으로 복귀한다.


최 부총리의 업무 원복에 따라 권한대행 업무 보좌를 위해 꾸려졌던 업무지원단도 이날로 업무를 마친다. 국방부와 외교부 등에서 파견 받은 직원들도 원래 소속으로 복귀하고 기재부에서 업무지원단 겸직을 받았던 직원들은 겸직 해제 발령을 내게 된다.

최 부총리는 권한대행으로 일한 기간 매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대외경제현안간담회,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 등을 주재하며 국정 현안 전반을 점검했다. 민생경제점검회의를 통해 취약계층 일자리, 소상공인, 관광산업 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권한대행 역할을 이임받은 직후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발빠르게 대응했으며, 마지막까지 산불 발생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등 재난 컨트롤타워의 역할도 무리없이 수행했다는 평가다.

최 부총리는 권한대행직을 내려놓기 직전까지 영남권 산불 대응을 위한 중대본 회의를 주재했으며 이날 오전에도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열었다. 최 부총리는 간담회에서 4월 2일 발표 예정인 상호관세와 관련한 정부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해서는 정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미국 측과 신속하게 후속 협의를 해나갈 것을 당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부총리가 경제 현안인 통상이나 민생경제 회복에 집중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