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완성…4월 시범서비스

24일 완료보고회 4월 시범서비스 7월 정식 운영
데이터 기반 시정 구현과 데이터산업 활성화 기여

부산시가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빅(Big)-데이터 웨이브' 구축을 완료하고 4월부터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부산시는 24일 시청에서 '빅-데이터 웨이브' 구축 완료보고회를 갖고, 4월 시범서비스를 거쳐 7월 정식 운영한다고 밝혔다.

빅-데이터 웨이브는 산재된 공공·민간 데이터를 수집·통합하고 전주기 관리를 통해 데이터 분석·활용을 촉진하는 인프라다.


부산시는 데이터산업 육성과 데이터 기반 디지털경제 도시 구현을 목표로 2023년 8월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사업'을 시작했다.

사업 1단계로 지난해 8월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고 초기 데이터 개방, 분석·시각화,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2단계로 최근까지 통합 데이터 맵, 데이터 마켓 등 고도화 서비스 개발을 추진했다.

통합 데이터 맵은 전국 지자체와 행정안전부 보유 데이터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는 맵이다. 데이터 마켓은 데이터 공급·수요기업간에 데이터를 거래하며 새로운 데이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다.

Photo Image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 '빅-데이터 웨이브' 주요 서비스(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시범서비스에서 1~2단계 사업 성과를 종합해 빅-데이터 웨이브 포털을 기반으로 제공한다. 주요 제공 서비스는 활용 가능 데이터, 데이터 분석·시각화, 데이터 마켓, 통합 데이터 맵, 데이터 분석·활용 실증과제 사례(쇼미The부산, 고용이동변화) 등이다. 3개월 시범 서비스 후 오는 7월 정식서비스에 들어간다.

빅-데이터 웨이브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인재양성 등 산학연관 교육사업, 연계사업, 데이터 생태계 조성사업 등을 추진한다. 부산테크노파크 빅데이터혁신센터와 공공·빅데이터활용 창업경진대회, 데이터위크(DataWeek) 등 행사를 공동 추진해 플랫폼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분야별 민관데이터협의체 운영도 9개에서 올해 20개까지 확대해 데이터 마켓의 데이터 거래 활성화를 촉진한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부산형 데이터 통합 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과학시정 구현과 지역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은 물론 중장기 부산 디지털경제 혁신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임동식 기자 dslim@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