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주도하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가 한·미 양국의 초기 통상 기류를 결정지을 핵심 카드로 급부상했다. 미국이 그간 표류한 사업의 추동력을 얻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참여를 제안한 가운데 우리 정부도 사업 참여 검토에 들어갔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달 26∼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미국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한미일 3국 협력 방식으로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데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자리에는 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더그 버검 백악관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 겸 내무장관 등이 참석했다.
앞서 미국 통상 고위 당국자들은 한국 기업과의 공식·비공식 접촉 과정에서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에 한국의 참여를 요청해 왔다. 이날 자리에서도 우리 정부에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수입 규모를 늘려 달라는 취지의 요청을 전했고 이에 안 장관도 한국 정부, 기업 차원의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사업은 북극해 연안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 가스전부터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배관을 통해 LNG를 나른 뒤 액화·운송하는 게 골자다. 알래스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약 1300㎞ 길이 가스관을 건설하고 액화 터미널 등 인프라를 건설해야 한다. 450억달러 64조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당초 엑손모빌 등 글로벌 오일 메이저가 참여한 가운데 사업이 시작됐지만 북극해 인근이라는 지역 특성에 따른 개발의 어려움과 사업성 문제로 민간 기업이 빠져나가 현재 공전 중이다.
미국은 세계 LNG 수요 1, 2위 국가인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의 LNG 수입국이 장기 구매를 전제로 개발 단계부터 사업에 참여하길 희망하고 있다. 이에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달 방미 기간 중 참여 의향을 밝힌 바 있다.
우리 정부도 알래스카 프로젝트가 충분한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선 판단하고 있다. 북극해 가스전 개발에 필요한 쇄빙선 건조 능력에서부터 대량의 철강재가 필요한 송유관 건설까지 한국 기업의 참여 여지가 크다고 보고 있다.
1990년대 말부터 매년 898만톤을 수입해 오던 카타르, 오만산 LNG의 장기 계약이 지난해 말 종료됨에 따라 미국산 LNG로 이를 대체할 여지도 있다는 관측이다.
무엇보다 트럼프 신정부가 상호관세 부과의 명분으로 내세운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막대한 사업 예산과 사업의 난이도 등이 장애물로 거론된다.
정부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안은 없다”면서도 “향후 미국 측과 실무 협의체를 구성해 사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