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의 일상화, 디지털 전환(DT)의 가속화로 소프트웨어(SW) 인재는 핵심 인력으로 자리잡고 있죠. 금융, 제조, 의료, 교육 등 산업 전 분야에서 AI와 자동화 기술이 적용되면서 AI 기반 솔루션 개발과 시스템 전환을 주도할 SW 개발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김종익 충남대 SW중심대학 사업단장은 “글로벌 경제에서 IT·SW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SW 인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김 단장과의 일문일답.
▲SW중심대학 출범 첫 해 사업 선정 이후 재선정 됐다. 높게 평가받은 부분은.
-충남대는 1단계 SW중심대학 사업을 통해 실무형 SW 인재 양성 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산업 현장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편해 실무 중심 교육을 정착시켰다. 특히, 모든 SW 전공자의 산학 프로젝트 참여를 의무화하고, 산업체 전문가가 직접 강의하는 실무형 교육 및 프로젝트 중심 학습(PCL)을 운영했다. 그 결과, 졸업생의 IT 직군 및 강소기업 취업률이 상승했으며, 실무 경험이 채용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했다. 해외 교육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해 글로벌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방 국립대 학생들에게 국제 경쟁력 키운 것도 큰 성과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전·세종·충청권 AI 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허브 역할과 비전을 인정받았다고 본다.
▲SW중심대학 사업 수행 이후 교육의 변화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SW·AI 교육 강화와 지역 사회 및 일반 시민을 위한 AI 교육을 확대했다. CNU 교양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AI 리터러시 교육을 의무화한 것도 큰 변화다. 계열·수준별 맞춤형 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비전공자도 실질적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 대전·세종·충청권 대학들과 교육 모델 공유를 통해 지역 내 SW·AI 교육의 표준화 및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AI 활용 캠프와 맞춤형 SW·AI 특강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 역량 강화 및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배양에 주력하고 있다. 유성구 도서관 및 지역 문화센터와 협력해 시민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디지털 소외계층을 줄이고, 시민의 AI 활용 역량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다.

▲충남대 SW중심대학 커리큘럼은.
-SW 교육 비전은 'AI for Everything'이다. 비전 실행을 위해 ABC(AI, Basic, Convergence)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실무 중심 교육과정을 개편해 현장 실무 능력을 강화하고, 학년별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추진했다.
이와 함께 전교생을 대상으로 SW·AI 교육을 실시한다. 기초부터 심화 과정을 제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마련했다. 산업체 전문가와 협력을 통한 실무형 교육도 진행한다. 글로컬 SW·AI 인재 프로그램 중 하나로 해외 대학 연수 및 장기 인턴십 프로그램(MI-333)을 운영한다.
▲충남대의 가치 확산 프로그램은.
-2016년부터 대전교육청과 협력해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AI·SW 체험 교실을 운영한다. 미래 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의력 배양을 위해서다. 경력 단절 여성 대상 SW 전문 강사 양성 교육을 통해 지역 내 AI·SW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와이즈쿱' 강사협동조합 설립도 지원하고 있다.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AITogether 교육을 통해 일상에서의 AI 활용 능력 증진을 지원한다. 지역 도서관 및 문화센터와 협력해 찾아가는 AI 특강 및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일련의 가치 확산 프로그램을 통해 충남대는 SW 교육의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한다.
▲사업단의 향후 목표는.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실무형 인재와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다. SW 중심 사회로 전환하는 것에 기여하고, 산업체와 사회의 요구에 맞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배출하고자 한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