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조기 시행…품질 검사 강화 전망

Photo Image
일 오전 인천 서구 한 공업사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벤츠 등 관계자들이 지난 1일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에 대한 2차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전기차 안전 강화를 위해 배터리 인증제 시행을 앞당기기로 해 업계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검증하겠다는 것으로, 배터리 제조사나 완성차 업체가 시행 중인 품질 검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업계에 따르면 오는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가 시범 도입된다. 최근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으로 내년 2월 예정이던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을 조기 도입하기로 해서다.

그동안 전기차 배터리는 제작사 책임 하에 생산해 판매해왔지만 앞으로는 안전성능시험을 거쳐 국토교통부 장관 인증을 받고 판매해야 한다. 기존 자기인증에서 강제인증으로 바뀌는 셈이다.

검사 항목 등 세부 내용은 미정이나 현재 예상되는 것은 배터리팩 단위 검사다. 이 경우 완성차 업체나 팩 제조사가 직접 대상이지만, 고객사인 완성차 업체가 더 높은 품질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배터리 업계도 영향권에 들 전망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품질 향상을 위해 제조 공정에서 검사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과거 삼성 스마트폰 화재 사고 이후 배터리 검사가 기존 샘플 검사에서 전수 검사로 확대된 바 있다.

Photo Image
배터리 이물 검사 시연 화면 예시 (이노메트리 제공)

현재도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전해질 누액을 확인하기 위한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사나 충방전 검사 등 전기적 검사를 기본으로, 외관 손상이나 정렬 모양을 확인하는 비전 검사도 이뤄진다.

최근에는 내부 전극 상태를 확인하는 비파괴검사가 확대 추세다. 외관 검사로 알 수 없는 내부 불량을 확인해 배터리 화재 원인이 되는 내부 단락(쇼트) 위험을 미리 제거하기 위해서다. 양극판과 음극판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는 전극정렬검사가 대표적이다.

엑스레이로 배터리 내부 이물을 확인하는 검사도 확대됐다. 전극에 유입된 이물질은 합선을 일으키거나 분리막을 손상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탈철 공정을 통해 검출이 어려운 비자성체 금속이나 비금속성 이물질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이다.

검사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2차원(2D) 엑스레이 대신 3차원(3D) 컴퓨터단층촬영(CT)을 활용하려는 수요도 늘고 있다.

신진우 이노메트리 검사기술센터장은 “엑스레이로 전극 정렬을 확인하는 검사 외에 이물질 유입 여부를 확인하거나 CT로 정밀하게 전극을 보는 검사가 확대되는 추세”라며 “배터리 제조 앞단계인 극판 공정부터 이물 검사를 진행하거나 배터리 탭과 접합부분 이물 검사를 추가하는 시도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최신 기술로 분류되는 이물 검사나 3D CT 검사는 국내 배터리 3사가 선제 도입한 상태다. 배터리 제조사 공개가 의무화되고 완성차 업계 품질 기준도 높아지면 중국 기업들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검사 도입에 적극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지역별 인증과 자동차 제조사별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전성 관련 가혹할 만큼 테스트를 이미 진행하고 있다”면서 “인증제가 검증되지 않은 배터리가 시장에 판매되지 못하게 하는 진입장벽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옥상옥 규제가 될 우려도 있는 만큼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