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트] 박춘근 CGPM 대표 “국산화보다 '국내 생산'이 더 중요”

Photo Image
박춘근 CGPM 대표(사진=박진형 기자)

“안정적인 공급망을 마련하려면 '국산화'에 얽매이기보다 선진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과 협력해 '국내 생산'이 이뤄지도록 하는 데 더 집중해야 합니다.”

박춘근 CGPM 대표는 최근 전자신문을 만나 “일본 기업이 수십년간 축적한 기술력을 한국 기업이 하루아침에 따라잡아 국산화한다는 건 사실상 어렵다”며 “국내 진출을 희망하는 다수의 일본 기업들이 있는 만큼 이들과 적극 협력해 기술을 배우고 국내 생태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표는 삼성전자, 동진쎄미켐, 다우케미컬, JSR EM코리아 등에 근무한 한국 1세대 반도체 소재 전문가다. 지난 2021년 소재업체 CGPM을 창업했다. 현재 세종시에 약 500억원을 투자해 5459평 규모의 생산공장을 짓고 있다. 내년 2분기부터 PR 폴리머와 감광제(PSM) 등의 소재를 양산할 예정이다. 이미 동우화인켐(스미모토화학), 닛산케미칼,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등 고객사도 확보했다.

한미일 3국이 산업장관회의를 정례화하며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지만, 정작 소재에서의 한국 경쟁력은 뒤처져 있다는 게 박 대표 진단이다. 지난 2019년 한일 무역 분쟁을 계기로 소재·부품·장비의 중요성이 부각됐으나, 정작 소재가 아닌 포토레지스트(PR)와 같은 전자재료에만 투자와 지원이 집중됐다는 것이다.

그는 “국내 기업이 전자재료를 일부 국산화했고 스미모토화학, 도쿄오카공업(TOK), 듀폰, 닛산케미칼 등 주요 해외 기업이 한국에 생산공장을 지었지만 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소재 대다수는 여전히 해외에서 들여와야 한다”며 “소재 수입에 문제가 발생하면 과거처럼 락다운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원하는 건 국내에서 전자재료뿐 아니라 소재까지 생산되는 안정적 공급망”이라며 “CGPM은 전자재료·소재 선진 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소재의 국내 생산을 진행, 반도체 생태계에 기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CGPM은 일본, 유럽, 미국 등 해외 기업과 세종캠퍼스 내 합작 생산시설도 추가 건설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주요 전자재료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의 국내 생산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자체 공장 설립을 계기로 인력은 올해 2배가량 증원한 60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Photo Image
CGPM 세종 캠퍼스

박 대표는 정부 지원이 소재가 아닌 전자재료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전자재료와 소재를 명확히 이해하고 구분해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소재→전자재료→반도체'로 이어지기에 소재 기업을 발굴하고 국책과제 등을 통해 지원해야 한다”며 “정부 지원 여부가 해외 기업과의 협력 논의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기에 보다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용인=박진형 기자 j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