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디지털 정책포럼]전문가들 “AI 생태계 조성 특단 대책 필요”

Photo Image
2024 디지털 정책포럼이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전자신문 공동주관으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채상미 이화여대 교수를 좌장으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안재만 베슬에이아이 대표, 문종민 인텔코리아 상무, 이삼열 연세대 교수,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 채 교수, 이정 한국외대 교수, 이성엽 고려대 교수, 남철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 김성웅 금융보안원 실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국내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특단 대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잇따랐다.

전자신문과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한국정보처리학회가 공동 주관하고 윤두현 국민의 힘 의원이 주최한 '2024 디지털 정책포럼'이 24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렸다.

디지털 정책 포럼은 매년 초 당해 연도 디지털 정책과 이슈를 제시하는 행사다.

참석자들은 올해를 AI 대전환을 여는 원년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규제 혁신과 플랫폼 산업 진흥 등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가적 특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우리나라에선 클라우드, 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 검색, 소셜미디어 등 IT 분야 플랫폼 전반에서 글로벌 기업 독점이 강화되고 있다. 또 생성형 AI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대로라면 국내 디지털, IT 생태계가 글로벌 기업 하청 기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은 인사말에서 “AI가 어디까지 진화할지 폭과 깊이를 상상하기 쉽지 않지만, 삶과 산업에 거대한 변화를 불러 일으키리라는 것은 자명하다”면서 “AI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총성 없는 경쟁은 시작됐으며, AI 혁명이라는 거대한 파도에 휩쓸리지 말고 첨단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정 한국외대 교수와 이성엽 고려대 교수는 각각 '2024년 디지털 트렌드 전망', '글로벌 AI 선도국가가 되기 위한 AI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정 교수는 올해 디지털 트렌드를 'AI의, AI에 의한, AI를 위한'으로 정의하고 △생성형 AI 확산 △클라우드 AI 플랫폼 시장 성장 △생성형 AI 기술 기반 스타트업 증가 △AI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 등을 예상했다.

이성엽 교수는 우리나라가 잘 할 수 있는 분야인 온디바이스 AI를 전략적으로 육성해야한다고 조언했다.

Photo Image
2024 디지털 정책포럼이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전자신문 공동주관으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채상미 이화여대 교수를 좌장으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안재만 베슬에이아이 대표, 문종민 인텔코리아 상무, 이삼열 연세대 교수,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 채 교수, 이정 한국외대 교수, 이성엽 고려대 교수, 남철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 김성웅 금융보안원 실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채상미 이화여대 교수의 사회로 이삼열 연세대 교수, 이상직 태평양 변호사, 문종민 인텔코리아 상무, 안재만 베슬에이아이 대표, 김성웅 금융보안원 실장, 남철기 과기정통부 과장이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기업 지원 △인력 양성 △법 제도 △보안 과제와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이삼열 교수는 AI 생태계 본질 구성 요소와 핵심 개념을 재정립했다. 그러면서 기존 시장 중심 분석을 넘어서는 생태계적 관점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 생태계 연결성을 논의해야한다”면서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 폭과 공급자 입장에서 지역 특성이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세밀한 분석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상직 태평양 변호사는 미국과 유럽엽합(EU)의 상반된 AI 규제 입장에 대응해서 우리나라만의 독자 AI 전략을 당부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AI 트렌드 의존을 지양하고 데이터와 클라우드 사용을 활성화하며, 한류 콘텐츠 고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제안했다.

문종민 인텔코리아 상무는 AI 생태계를 △플랫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으로 나누고, 우리나라는 이 가운데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결과물은 서로 경쟁하며 발전할 것”이라면서 “다양한 앱과 데이터를 쉽고 안전하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개발·검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문화적 영향력과 영토를 넓히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재만 베슬에이아이 대표는 글로벌 대기업의 사전 규제 대응을 지적하고 저작권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최소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AI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서는 대기업 중심의 독점 방지와 스타트업 참여 기회 확대를 강조했다.

김성웅 금융보안원 실장은 보안 중요성을 설명하면서 특히 금융·의료 분야에서 AI 판단 근거를 사용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금융·의료 분야에서 설명 가능한 AI 안내서를 마련할 것”이라면서 “각계 의견 수렴을 거쳐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2024 디지털 정책포럼이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한국정보처리학회, 전자신문 공동주관으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 안재만 베슬에이아이 대표, 문종민 인텔코리아 상무, 채상미 이화여대 교수, 백윤흥 한국정보처리학회장, 정진섭 한국정보산업연합회장,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 강병준 전자신문 대표, 이성엽 고려대 교수, 이정 한국외대 교수, 이삼열 연세대 교수, 남철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 김성웅 금융보안원 실장, 유은종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남철기 과기정통부 과장은 “정부는 그동안 AI, 데이터,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등 AI 강국 도약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 AI 신뢰성·윤리 확보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 노력을 전개해왔다”면서 “기업·산업 성장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AI 산업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정부는 '올(All) 온(on) AI 시대'를 뒷받침할 AI, 데이터, 클라우드 전략을 지속 마련하고 저작물, 개인정보, 소유권자 등 정당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생성형 AI 활용을 촉진하는 제도 개선을 관계부처와 함께 추진할 것”이라면서 “AI 일상화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국민 체감이 높은 공공·민간 분야를 대상으로 대규모 AI 국가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