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농업대전환의 일환으로 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4년 축사시설현대화 및 ICT 융복합사업'으로 253억원을 축산농가에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도는 축사시설현대화에 196억원(융자 157억원, 자부담 39억원), 축산분야 ICT융복합사업 57억원(국비 17억원, 지방비 7억원, 융자 22억원, 자부담 11억원) 등이다. 축사 및 축산시설의 신축과 개보수, 축사 내외부의 환경조절장비, 사료자동급이기, 발정탐지기 등 원격 제어가 가능한 자동화 장비 구입 비용을 지원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18/news-p.v1.20240118.b3b0da1e8d58434f86f2ec2b76f4d5ea_P1.jpg)
축사시설현대화사업은 융자 80%, 자부담 20%로 지원되며, 축산업 허가면적상 축사규모에 따라 이자율은 중·소규모 연리 1%, 대규모 연리 2% 농가로 분류해 이자율을 차등 적용한다. 5년 거치 10년 상환으로 지원한도액은 축종별 규모별로 다르다. 지원대상은 2014년 12월 31일 이전부터 축산업 허가 및 등록한 농가와 농업법인이다.
축산분야 ICT 융복합사업은 국비 30%, 지방비 20%, 융자 30%, 자부담 20%로 지원되며, 농식품부의 'ICT융복합 장비설치 규격 및 서비스기준'을 준수하고 스마트팜코리아에 등록해 축산물품질평가원과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장비(컴퓨터 또는 모바일 등에서 기계장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면 가능하다. 지원대상은 축산업 허가 및 등록 농가, 곤충생산(사육) 신고확인증을 받은자, 양봉은 양봉 등록 농가이면서 200군 이상 보유한자이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축사시설 현대화 및 ICT 융복합 지원사업으로 축산농가 생산성 향상 및 안정적인 축산경영 기반 조성은 물론, 악취없는 깨끗한 축산환경을 조성하겠다. 스마트 축산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시설, ICT 장비 등 개선이 필요한 농가가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