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최종민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유기분산 'MXene' 소재를 도입해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양자점 태양전지가 이슈로 부상하고 있지만 광 흡수물질과 정공 전달물질 간 에너지 수준이 적절히 배치되지 않아 에너지레벨 정렬 불일치와 표면에 금이 가는 크랙 문제가 있다. 이는 성능 제한으로 연결된다. 특히 에너지레벨 정렬 불일치는 전하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지 못하게 해 태양전지 성능을 크게 떨어뜨린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자점 태양전지에 2D 구조의 MXene 소재를 도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기용매 분산성이 뛰어난 폴리카테콜을 MXene 소재 표면에 결합시켜 양자점 잉크 공정에 MXene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1/28/news-p.v1.20231128.618bb4ddb012473f9b67841fdef493ff_P2.jpg)
MXene 도입으로 양자점 박막이 높은 페르미 레벨을 형성, 양자점의 전하 재배치가 이뤄져 에너지레벨 정렬 불일치 문제를 해결했다. 또 2D구조 MXene은 소자 내부 금속 침투를 막아줘 광전화 효율을 12.8%에서 13.6%로 향상시키고, 열 안정성도 약 30% 향상시켰다.
최종민 교수는 “이번 연구로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을 뿐 아니라 MXene을 차세대 양자점 전자소자에 응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면서 “지속 연구를 통해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한 표면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1/28/news-p.v1.20231128.c5f48a916d8e4b5bbb42df3c0813298e_P2.jpg)
연구에는 DGIST 유형렬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최근 에너지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벤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온라인에 게재됐다. 한국교통대학교 인인식·안태규 교수 연구실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 사업' 지원을 받았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