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시사용어]대학 기술지주회사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대학 기술지주회사(산학연협력기술지주회사) 제도는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사업화하고 이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연구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07년 산학협력법 개정을 통해 도입됐다.

2008년 7월 한양대를 시작으로 삼육대, 서울대가 같은 해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했다. 2009년에는 강원지역대학연합으로 연합형 대학 기술지주회사가 처음으로 설립됐다. 자회사 창업도 지속 증가했다.

교육부와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에 따르면 2020년 기술지주회사 75개, 자회사 1000개를 돌파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기준 기술지주회사 82개, 자회사 누적 1550개를 넘겼다.

대학 기술이전 수입료도 2020년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2022년 1305억원을 기록하며 2년만에 30%가 증가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대학 기술지주회사는 창업, 투자 기능을 모두 갖춘 대학 내 유일한 전문조직이다. 또 대학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창업과 펀드 운영 수익은 대학(산학협력단) 소유로 대학재정 건정성이 확보된다.

바이젠셀, 라파스 등 대학 기술지주회사 자회사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돼 기술지주회사가 보유한 지분매각으로 얻은 수익을 연구활동에 재투자하거나 창업공간 마련에 사용하는 등 우수사례도 나왔다.

다만, 대학과 기관 등 관련 업계에서는 2007년 제도 도입 이후 기술지주회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등 규모가 커졌으나 기존 제도 한계로 현장 애로사항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