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29/news-p.v1.20230629.ddf39f60435b41888f98a70307a80870_P1.png)
코로나19 변이로 또 다른 재유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가운데 '점막 면역'을 통해 질병감염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방법론이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이흥규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이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 연구진과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 비강 접종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쥐 동물 실험으로 이 백신이 장기간 지속되는 강력한 점막 면역을 유도함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점막 면역은 호흡기를 구성하는 체내 상피조직인 점막에서 작용하는 면역이다. 체내, 체외 접점인 점막에 침입한 외부인자를 인지하고 제거해 인체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체계다. 전신적 면역반응에 비해 병원체 침입에 빠르게 대응해 감염 및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연구팀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량된 스파이크 단백질 항원 및 인간 유래 면역증강제(CXCL9)을 탑재한 비강 접종 코로나19 백신(Ad5-S.Mod)을 개발해다. 인간 유래 면역증강제가 활성화된 T세포의 위치이동 유인특성에 주목해, 이를 백신 효능을 높이는 면역증강제로 이용했다.
백신효능 검증결과 비강 백신이 호흡기 점막 항체 반응, 기억 T세포 반응을 높은 수준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백신 투여군은 1회 단일 접종만으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시 100% 생존했다. 또 백신 접종으로 만들어진 면역반응은 최소 1년간 유지된다는 것을 규명했다.
정희은 의과학대학원 박사후연수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 분야 국제 학술지 '앤티바이럴 리서치' 온라인판에 지난 14일 게재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KAIST 코로나 대응 과학기술 뉴딜사업, 2020 과기원공동연구 프로젝트,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창의·도전연구 기반지원 사업 및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 예방 융합 플랫폼 개발 과제 및 GO! KRICT 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