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기후변화가 태평양 수온에 미치는 영향 밝혀

- 강사라 교수팀, 기후모델 통해 태평양 수온구조 변화 기전 규명

Photo Image
강사라 UNIST 교수(오른쪽)와 신예철 포항공대 연구원.

지구 기후를 결정하는 열대 태평양 수온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UNIST(총장 이용훈)는 강사라 도시환경과학과 교수팀이 포항공대,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코넬대, 듀크대와 공동으로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다양한 기후변화 요소들이 태평양 수온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분석 과정에서 태평양 수온구조가 고위도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했다.

태평양 수온구조 변화는 해빙 감소, 해양 순환의 변화, 온실효과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그 인과관계를 정확히 규명하기 어려웠다.

강사라 교수팀은 수온구조 변화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지구 기후를 재현하는 기후시스템 모델을 활용했다.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지구 기후변화를 모의하고, 해빙 면적 감소, 해양순환의 변화 등 태평양 수온구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요소를 개별적으로 파악했다. 이를 기후모형에 각각 적용해 기후변화 요소가 태평양 수온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태평양 수온구조는 열대 해양의 지역적 변화만큼이나 고위도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북극과 남극 해빙 감소는 열대 동태평양을 따뜻하게 만들고, 남극의 해양 순환은 열대 동태평양을 차갑게 하는 주요 원인임을 밝혔다.

강사라 교수는 “열대 태평양 기후변화는 남극해의 해양 순환이나 해빙 감소와 같은 고위도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이번 연구에서 복잡한 기후시스템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방법을 제시했고, 이는 태평양 외에 지역적 기후시스템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임동식 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