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공공기간 8개→4개 통합안 발표…의견수렴 없이 일방통행식 추진 '논란'
광주시가 오는 8월까지 추진하는 공공기관 통폐합 계획이 '일방통행식'이라는 논란에 휩싸였다. 중앙 정부가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는 기관도 포함된데다 통합대상 기관 직원의 반발로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303/1628618_20230308211024_088_0001.jpg)
시는 지난달 23일 광주과학기술진흥원을 광주테크노파크(TP)로, 광주경제고용진흥원과 광주상생일자리재단은 광주상생일자리경제재단으로 통합하는 등 8개 공공기관을 4개 기관으로 줄이고 3개 기관 기능을 확대하는 '민선 8기 광주시 공공기관 구조혁신안'을 발표했다. 유사·중복 기능 조정, 기능중심 조직통합 및 기능강화, 통합에 따른 고용보장 등 3대 기본원칙에 따라 4월 말 최종 용역안을 기반으로 기관별 기능 조정, 6∼7월 기관별 경영혁신안 발표를 거쳐 8월부터 개편한 조직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같은 방침에 대해 방만한 공공기관 통폐합 대수술에 나섰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지만 졸속적이고 일방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후유증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선도하며 연구·개발(R&D) 컨트롤타워를 표방하는 광주과학기술진흥원을 광주TP에 통폐합하는 것을 두고 정부정책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난해 12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심의한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중점 추진과제에는 8개 지자체가 운영중인 과학기술정책전담기관인 진흥원 등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광주과학기술진흥원 관계자는 “정부가 진흥원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겠다고 한 상황에서 오히려 광주시는 진흥원을 없애고 TP에 흡수하겠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면서 “민감한 공공기관 통폐합을 진행하면서 공청회나 토론회 등 주민과 직원 여론수렴을 단 한번도 실시하지 않고 강압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큰 문제”라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 발굴과 노사 상생을 위해 출범한 광주상생일자리재단도 통폐합에 노동계 등이 반대하고 있다. 재단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 100대 과제 중 하나인 광주형 상생 일자리를 위해 지난해 4월 설립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사회적 합의를 파기하는 재단 통합을 반대한다”며 “재단을 광주경제고용진흥원에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지역 노동계와 한마디 상의조차 없었다”고 강조했다.
통합 대상이 된 기관 내부에서는 고용 승계 과정에서의 인사문제 등 진통과 후유증을 걱정하고 있다. 최근 광주지역 국회의원 7명도 시에 공공기관 통폐합에 대한 우려 섞인 서한을 보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