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장해춘)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문용식)에서 추진하는 국가 연구개발 프로젝트인 '2022년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의 참여기관으로 선정돼 '전통발효식품 융합 데이터 구축' 과제를 수행한다고 14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207/1552413_20220714090911_317_0001.jpg)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및 개방을 통해 AI 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추진한다.
전통발효식품 융합 데이터 구축사업은 AI 전문회사인 에이아이더뉴트리진을 주관기관으로 세계김치연구소,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조선대학교 총 4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통해 공동 추진한다. 배추김치, 깍두기 등 김치 7종을 포함해 고추장, 막걸리 등 총 12종의 발효식품에 대한 AI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해 AI 모델을 만든다.
이번에 구축하는 AI 학습용 데이터는 김치류 및 장류, 주류의 동영상, 사진, 문서 등 총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발효 과정을 담은 '동영상' 30만 시간, 발효 사진 등 '이미지' 6만 장, 발효 환경 및 품질 관련 '문서' 6만 건을 분석해 오는 12월 말까지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는 발효식품 제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발효 단계별 예측 AI 모델로 개발하여 김치제조업체 등 발효식품업계에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모니터링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요 시간 및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장해춘 세계김치연구소장은 “AI 기반의 발효 품질 예측 모델은 김치 등 발효식품 생산 단계에서 기존 품질관리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술을 도입해 전 세계 발효식품 수요를 견인함과 동시에 식품 시장의 기술 트렌드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