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박사팀이 차세대 태양광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안티모니 칼코아이오다이드 칼코아이오다이드(chalcoiodide)의 조성을 제어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향후 납을 포함하지 않는 차세대 비납계 태양전지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들어, 실리콘에 버금가는 높은 성능과 제작의 편리성을 갖는 납(Pb)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납(Pb)의 유해성은 상용화에 있어 큰 걸림돌이다. 이에 따라 태양광 소재인 안티모니 칼코아이오다이드 소재가 대표적인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 박사팀은 2단계로 나눠진 용액공정을 통해 안티모니 칼코아이오다이드의 조성을 제어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 우선 안티모니 칼코게나이드를 제조한 다음 이를 삼아이오딘화안티모니(SbI3)와 반응시켜 안티모니 칼코아이오다이드로 변환시켰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해당 공정을 통해 소재의 단순한 조성을 넘어서 소재의 결정과 형상, 그리고 전자 구조가 모두 잘 제어된 안티모니 칼코아이오다이드 소재 제작에 성공했다. 또 연구팀은 전자 구조 분석을 통해, 이 소재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고성능 태양전지 제작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계면층을 소개했다.
최용찬 박사는 “향후 단순한 태양광을 넘어 비납계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있어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정강원 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전임연구원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더욱 향상된 태양전지 소자를 개발해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비납계 태양광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 및 DGIST 융합연구원 기관고유사업인 '차세대 에너지소재 원천기술 개발'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인 'ACS Applied Energy Materials'에 온라인 게재됐고, 추가표지(Supplementary Cover) 논문으로 채택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