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스포츠 산업의 인력 양성 이슈가 국정감사에 오른다. 올 상반기에 60명을 뽑는 한국e스포츠협회 직무 프로그램에 1000여명이 몰리는 등 관심이 높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문 교육기관이나 정책은 부실한 실정이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다음 달 열리는 2021년 국감에서 e스포츠 산업의 인력 양성 대책을 점검한다. 이상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련 질의와 함께 정책 대안 마련을 요구할 예정이다. e스포츠 산업의 인력은 경기를 뛰는 선수뿐만 아니라 감독과 코치, 이를 지원하는 인력으로 구성된다. 국내 e스포츠 산업의 인력 배출 통로는 100% 사교육에 의존한다. 정책과 교육 편제 등 현 교육제도에서 e스포츠 관련 직업을 탐색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까닭이다. 타 산업뿐만 아니라 기성 스포츠와 비교해도 진로를 탐색하거나 직군을 경험할 기회가 아예 없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0 e스포츠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프로구단 e스포츠 코칭스태프의 22%가 체계적인 코칭스태프 양성 시스템 부재를 지적했다. 코치진의 연령은 30대 미만이 77%로, 젊은 층의 유입이 활발하다. 그만큼 직업탐색 역할이 중요하지만 관련 경험과 지식을 얻는 방법이 제한적이다.
e스포츠 직무 취업 희망 시 대학 입시 중심인 현 교육시스템에 섞이지 못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대학에 관련 학과가 없고 고등교육 과정에서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젊은 인재가 e스포츠 산업 입문을 주저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인력 공급이 더뎌지면 산업 경쟁력도 후퇴한다. 미국과 영국은 '융합 인재' 양성 차원에서 접근한다. 게임 규제를 강화하는 중국도 e스포츠만은 인재를 길러 굴기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인력 양성 방안이 확보되지 않으면 한국 e스포츠 산업의 성장은 장담할 수 없다.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지만 산업 성장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19년 1163억원을 기록한 e스포츠 산업 투자 유치금은 지난해 320억원으로 급감했다. 글로벌 e스포츠 산업 규모가 2016년 5753억원에서 2020년 1조11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성장하는 사이에 한국 비중은 16.8%에서 16.5%로 0.3%포인트(P) 감소했다.
정부는 'e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에 기반해 진흥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선언 수준에 그칠 뿐이다. 관련 지원기관의 예산도 줄고 있다. 2019년도에 276억원이던 예산은 지난해 168억원으로 21.4% 감소했다. 정부는 최근 한·중·일 e스포츠대회를 개최하는 등 대외적으로 e스포츠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인력 양성, 예산 지원 등에서 엇박자를 빚고 있다. 이상헌 의원은 23일 “공교육과 e스포츠 진로 꿈을 놓고 선택이 강제되는 등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것이 문제”라면서 “e스포츠 직업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공교육에도 가능성을 열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