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은행 소비자금융 매각 결정, 9월로 또 연기

Photo Image

한국씨티은행이 소비자금융부문 매각 방향을 당초 오는 26일 열리는 정기이사회에서 결정키로 했으나 다음달로 미루게 됐다. 소비자금융 부문 전체 매각, 분리 매각, 단계적 폐지 중 어떤 전략을 추진할지 아직 방향성이 불투명해 매각이 순탄치 않은 분위기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씨티은행은 오는 26일 열리는 정기 이사회에 국내 소비자금융 부문 출구전략 방향 논의 안건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당초 7월 중 방향을 확정하겠다고 했으나 8월로 한 달 연기했고 또다시 결정을 미룬 것이다.

유명순 씨티은행장은 이날 직원들에게 'CEO 메시지'를 배포하고 “더 신중한 의사결정을 위해 9월 이후에 출구전략 방향을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유 행장은 “특히 직원 여러분의 진로와 관련해 현재까지 논의된 대안을 중심으로 모든 직원을 보호하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해 이사회와 출구전략을 면밀하게 검토·논의하고 있으며 최종 결정에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덧붙였다.

씨티은행은 소비자금융 부문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복수 금융사와 매각 조건 등을 협의하고 있다. 상호간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협의가 지연되고 있다고 알려졌다.

주로 부분매각을 놓고 인수의향자와 협의하고 있는데 주 대상은 신용카드, 자산관리(WM) 등 소위 '알짜'로 불리는 사업부다. 서로 제시한 매각·인수 조건 차이가 커서 논의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씨티은행 노조는 국내 소비자금융 부문 철수와 관련해 안정적인 인수처를 찾아 직원들의 대규모 실업사태가 벌어지지 않는 매각을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졸속 부분매각 또는 자산매각(청산)에는 반대하고 있다.

앞서 씨티은행 노조는 “한국씨티은행은 연 2000억∼3000억원 규모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는 흑자 기업으로 소비자금융 매각·철수가 시급한 상황이 아니다”라며 “(매각·철수를) 결코 시급하게 결정할 사안이 아니며 시간보다 안정적인 인수처가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