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월 1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화상회의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보이고 있다.

미국이 반도체·배터리 등 핵심 품목 공급망을 재편하기 위해 진행한 조사가 이번 주 결론난다. 어떤 권고안이 나오든지 우리로선 기업과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바이오의약품 등 4개 핵심 품목을 대상으로 100일간 진행한 공급망 조사가 다음 달 4일(현지시간) 끝난다. 조사 명분은 코로나19 이후 취약성이 드러난 핵심 품목의 제조 기반을 다지기 위한 공급망 재편이다. 특히 이번 조사 핵심인 반도체는 중국 굴기를 저지하려는 미국의 중장기 국가 전략이 자리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미국 정부가 조사 결과를 언제, 어느 수준까지 공개할지는 미지수다. 조사가 연장될 수도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동맹국과 협력, 핵심 품목 공급망을 강화하거나 자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 동맹과의 공급망 확대와 강화 쪽에 초점을 맞춘다면 수요가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이 반도체 첨단 공정기술을 보유한 외국 기업의 미국 내 신규 생산시설 투자를 추가로 유도한다면 우리 기업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미국이 제재 등을 통해 동맹국에도 중국과 거래를 축소 또는 중단하도록 압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조사 결과에 대해 중국이 크게 반발할 경우 양국 모두 큰 시장인 국내 기업 입장에서 어느 쪽도 편을 들기 어려운 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미중 간 패권 경쟁에 휘말리는 동안 국내 산업기반이 약화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