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청년 창업가에게 '도전→성장→재도전' 맞춤형 지원

공공임대 주택 공급 시 청년 창업자에게 특별공급 자격 부여

정부가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창업 도전단계부터 성장, 재도전단계까지 단계별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또 청년 스타트업 창업가에게 주택 특별공급 자격이 주어진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8일 '제3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3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청년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Photo Image

우선 중기부는 청년 창업 활성화의 중심 역할을 하는 거점을 지역별로 조성하고 그 역할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창경센터)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파크, 그린 스타트업 타운, 캠퍼스혁신파크, 팁스타운, 도심융합특구, 도시재생혁신지구 등의 지역별 창업 인프라를 연계한다.

대학의 역할도 강화한다. 창업지원 환경이 우수한 대학은 가칭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하고, 5년동안 중기부의 창업 지원사업을 주관하면서 지역의 대표 청년 창업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육성한다.

또 청년 창업자의 성공을 위해 창업 도전단계부터 성장·재도전단계까지 단계별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온라인 창업교육 콘텐츠를 청년들이 어려움을 겪는 세무·회계 등의 분야 중심으로 맞춤형 확충·개편하고 창업교육을 이수한 청년 중 500명을 선발해 창업 아이템을 사전에 검증해 볼 수 있는 '실전창업 준비금' 300만원을 지원한다.

20대 청년이 창업에 처음으로 도전할 때 초기 역량을 빠르게 키울 수 있도록 '생애 최초 청년 창업 지원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최대 2000만원의 사업화 자금과 선배 창업가 멘토링, 세무·회계 등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한다. 중기부는 이를 통해 총 1000명의 20대 청년 창업자를 추가로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력, 제조, 자금, 주거 등 청년 창업자들의 주요 애로사항 해결에도 나선다. 청년 창업기업들이 겪는 개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1년간 집중교육을 통해 창업기업 맞춤형으로 인공지능 개발자를 양성하고, 창업·벤처기업 채용까지 연계하는 '스타트업·벤처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어 기초 개발역량은 갖추고 있으나 실무 경험이 부족한 초보 청년 개발자에게 창업 현장의 인턴 경험을 더해, 숙련 개발자로 양성하는 '에스오에스(SOS) 개발자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청년들이 특히 어려움을 겪는 제조분야에서는 시제품을 제작하고 본격 양산할 수 있도록 외주 생산업체 정보를 총망라해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종합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청년들이 주거걱정 없이 창업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공공 매입·리모델링을 통한 공공임대 주택 공급 시에는 청년 창업자에게 특별공급 자격을 부여할 예정이다. 사회적경제주체, 공공기관 등 주택 운영기관이 직접 입주자를 선정하는 주택 중 일부 물량을 청년 스타트업 대상으로 특별 공급한다는 것이다.

Photo Image

청년들의 재도전 환경도 개선하기로 했다. 창업에 실패한 청년들이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자신감을 회복해 재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매년 1000명이 참여하는 '재도전 응원캠프'를 신설한다. 청년들이 신속히 재기할 수 있도록 정책금융의 특수채권 원리금 감면 비율을 70%에서 80%로 확대하고, 성실실패 기업에 대한 채무 감면 비율도 90%에서 95%로 확대한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