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포스트 코로나 혁신기술 R&D 선제 투자

Photo Image

디지털 치료제, 인공지능(AI)기반 실시간 질병진단기술 등 이른바 포스트 코로나 수요기술로 불리는 디지털·비대면 혁신기술 연구개발(R&D)이 본격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최기영 장관 주재로 제1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온라인으로 열고 4개 안건을 논의·의결했다.

'포스트 코로나 대비 R&D 투자 전략(안)'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가 현실화됨에 따라 이날 긴급안건으로 상정됐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중소기업 경영환경이 악화로 연구인력이 급감할 수 있다고 보고 R&D를 통해 기술개발과 연구인력양성을 동시에 추진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중소기업 연구인력 일자리를 창출할 R&D 사업 투자를 확대하고, 나아가 포스트 코로나 신산업 등 기술개발 분야에 선제 투자를 집행한다.

디지털·비대면 서비스 및 산업 수요에 대응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필요시 일몰사업에 대해서도 신규과제를 반영하는 등 R&D 기획→투자→집행이 신속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디지털 치료제, A I기반 실시간 건강상담 및 질병진단기술, 교육콘텐츠, 에듀테크, 무인 자율주행, 온라인 원격 서비스 등 분야가 주 대상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미 수립한 '내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에도 이를 반영, R&D 예산배분·조정에 활용한다.

'지능형 스마트비행단 민·관·군 협력 구축전략(안)'도 의결했다.

국방부가 추진 중인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 일환으로 민·관·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협력 R&D 활성화를 통해 국가 혁신성장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국방 테스트베드 운영'을 통해 민·관·군 실증협력 및 R&D 사업을 확대하고 부처별로 수행하는 과제 중 '스마트 부대'에서 실증·도입이 가능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 성과 창출방안을 만들어 나간다.

'범부처 연구지원시스템 통합 구축 실행계획(안)'은 통합 시스템 개발 및 규정·지침 표준화, 중장기 운영방안 도출 등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 구축·적용을 위한 이행방안을 담았다.

올해 연구자정보시스템을 통합한 뒤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표준과제관리업무절차와 각 부처·전문기관별 특성을 고려해 내년 상반기안으로 통합 과제지원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R&D 규정과 연구관리 서식, 첨부서류 등을 표준·간소화하고, 통합 연구지원시스템의 중장기 운영방안도 도출한다.

'자원기술 R&D 투자 혁신전략(안)'은 소재산업 원료물질인 자원의 안정적 수급과 재활용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했다. 자원수급과 폐기물 재활용 등 현안을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R&D 전략성을 강화하는데 방점을 찍었다.

이번 회의에서는 희유금속 등 핵심자원 선별, 현장수요 맞춤형기술 및 성능검증·기준기술(순환자원·재제조품) 등에 대한 지원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자원개발·순환분야 공통활용기술과 태양광폐패널 등 급증하는 미래폐자원의 재활용기술 등에 대한 지원방안도 함께 검토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장기적 비전과 시야를 가지고 과학기술과 우리나라가 나갈 방향을 고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과학기술 기반 부처 간 협업 가속화를 위한 논의를 지속해 경제·사회 분야의 각종 문제 해결에 과학기술이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