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차례 유찰됐던 기획재정부 차세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사업에 삼성SDS와 LG CNS가 경쟁한다. 삼성SDS가 8월 행정안전부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디브레인 사업까지 차지할지, LG CNS가 승기를 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기재부 차세대 디브레인 사업 입찰에 삼성SDS와 LG CNS가 참여했다.
차세대 디브레인 사업은 2022년까지 1191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공공 사업이다. 기재부는 재정통계 통합산출, 재정정부 분석과 활용 등 17개 분야 재정업무 처리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한다.
사업은 8월 행안부 차세대 지방세 시스템 구축 사업에 이어 올해 최대 공공 SW사업으로 꼽힌다. 지난 12일 첫 입찰을 진행했지만 삼성SDS 단독 입찰로 한 차례 유찰됐다. 이번에 LG CNS가 참여하면서 행안부 차세대 지방세에 이어 양사 경쟁이 재현됐다. 삼성SDS는 대우정보시스템, LG CNS는 아이티센과 함께 컨소시엄을 맺고 사업에 참여한다. 양사 제안발표는 29일 진행한다. 제안 발표 후 오후에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올해부터 행안부 차세대 지방세를 시작으로 디브레인 등 대형 공공 SW사업이 연이어 진행된다. 삼성SDS가 6년 만에 공공 시장에 복귀하면서 LG CNS와 삼성SDS간 경쟁이 이어진다. 행안부 차세대 지방세 사업은 삼성SDS가 수주하며 승기를 잡았다. 차세대 디브레인에 이어 보건복지부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 e음) 등 대형 공공 SW사업을 두고 양사 간 경쟁은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차세대 디브레인 사업은 최종 수주 사업자뿐 아니라 저가 투찰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앞서 삼성SDS가 차세대 지방세 사업 수주 시 입찰 가능한 최저가 80%대 금액을 제안하면서 업계 비난을 받았다. 삼성SDS는 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격을 제안했다는 입장이다.
업계는 소모적 경쟁을 줄이기 위해 저가 투찰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예정가보다 적은 가격에 사업을 수주할 경우 수익·사업 완성도 하락 등 악순환을 야기한다. 대기업 협력사인 중소 SW기업 역시 제대로 비용을 보전받지 못해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행법이 80% 하한선을 만들어놨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선 언제든 80%까지 가격 입찰이 가능하다”면서 “낙찰 하한율을 예정가에 근접한 90% 이상으로 변경해야 저가 입찰 우려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