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시험·인증에 필수로 쓰이는 표준물질(RM)을 국산화한다. 일본 의존도가 높고 산업 파급력이 큰 RM 품목 수십종을 선별, 우선 개발하는 것을 추진한다. 정부가 RM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RM은 시험·인증에 필요한 필수 재료인 만큼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정부와 관련 기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상용표준물질개발·보급' 사업을 내년에 시작한다.
사업은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부품·장비 개발 시 품질과 정확성 등을 검증하는 RM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사업은 2년 과제로 내년부터 2024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국표원은 현재 일본 의존도가 높거나 산업 파급력이 큰 RM 60종을 선별했다. 업계 의견을 수렴한 후 과제에 추가 반영할 예정이다. 최소 수십종에 이르는 국산 RM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RM은 소재 개발에 필요한 기본 물질이다. 장치 교정, 측정 방법 평가, 물질 물성값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특성치가 충분히 균질하고 잘 설정된 재료·물질로, 시험·인증에 필요한 필수 물질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합금박막을 위한 RM, 나노물질 입자 크기, 분포 측정용 RM 등 정밀한 소재 물성 판단에 RM이 반드시 필요하다.
국표원은 우선 일본 의존도가 높거나 사업 파급력이 큰 RM을 선정하고, RM 시제품 제작을 지원한다. 국제표준에 따른 RM 생산관리 체계를 구축, RM을 국제표준물질등록센터에 포함될 수 있는 인증표준물질(CRM)로 만드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RM까지만 만들어도 국내 기업에서 이용할 수 있지만 CRM까지 만들면 세계 시장에서도 통용될 수 있다”며 “다만 CRM까지 만들려면 복잡한 절차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표원에서 과제 최종 목표를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RM은 생산량이 적지만 생산 절차가 까다롭고 개발 시 산업 가치가 크다. RM을 생산하려면 '생산계획→생산·생산관리→균질성 확인→안정성 확인→특성값 부여→인증→보급'에 이르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단독 기업이 생산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정부도 기업, 대학, 연구소, 업종별 단체, 시험인증기관 등 다양한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과제를 추진할 방침이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