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카드사가 추진해 온 통합 QR페이 사업이 무산됐다. 카드사끼리 규격 제정 등의 갈등을 겪다가 통합 합의에 실패했다. 결국 2개 진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올해 초 롯데카드, 신한카드, 비씨카드는 카드사 공통 QR페이를 시작했다. 카드 3사는 호환이 가능한 공통 QR 규격과 시스템 개발까지 완료했다. 금융감독원도 3개 카드사의 연합 QR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약관도 승인했다. 이후 금감원이 소비자 편익을 위해 3사 이외에 모든 카드사가 참여하는 공통 QR서비스를 만들라고 카드업계에 통보했다. 고객은 카드사별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지 않고 통합 앱으로 6개 카드사가 이용할 수 있도록 호환 작업을 추진하라는 것이다.

후발 진영으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가 합류했다. 그러나 선·후발 진영이 규격 통합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별도의 규격으로 QR서비스를 상용화했다. 결국 소비자는 불편하고, 금감원은 무안해졌고, 카드사는 실리를 놓치게 됐다.

이 같은 사태가 빚어진 데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먼저 3개 카드사가 사업을 추진하는데 금감원이 약관 승인을 해 주고 뒤늦게 카드사 통합 추진을 요구한 점이다. 당초 통합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면 약관 승인을 늦추고 선 통합을 요구할 수도 있었다. 통합을 요구한 뒤에는 사후 관리를 하지 않아 카드사가 합의에 실패하는 빌미를 제공했다. 차라리 통합 요구를 하지 않았다면 사업 추진이라도 빨라졌을 수 있다.

카드사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참여 범위가 넓을수록 인프라는 힘을 받는다. 금감원의 통합 요구에 카드사가 호응한 이유였다. 그러나 카드사는 통합에 따른 이익보다 사별 이익을 우선했다. 결국 금감원의 요구는 시기도 적절하지 않았고, 방법도 치밀하거나 합리적이지 못했다. 카드사는 공공이나 소비자 이익보다 당장 눈앞에 놓인 회사 이익만 우선시했다. 결론은 소비자의 불편이다. 각각의 결정과 상황에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