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하반기 '통상정보전략센터' 설치...통상전략 2020 공개

Photo Image
한국무역협회가 하반기에 설치할 통상정보전략센터 기능 및 역할

수출 중소·중견기업에 통상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통상전문센터가 만들어진다.

미·중 무역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보호무역주의와 통상마찰의 확대로 중소·중견기업에 통상정보 대응전략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는 17일 '통상전략 2020' 보고서를 내고 글로벌 통상리스크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통상정보전략센터' 운영계획을 밝혔다.

하반기에 문을 열 통상정보전략센터는 컨설팅, 조사·연구, 데이터베이스(DB) 구축, 통상전문인력 양성을 주요 업무로 한다. 컨설팅을 원하는 기업 요청에 따라 무역협회가 프로젝트매니저(PM) 역할을 맡아 로펌, 회계펌, 싱크탱크 등 국내외 전문기관으로부터 자문과 정보도 제공한다.

국내에 공공기관이나 협·단체가 제공하는 무역지원 서비스는 있지만, 통상을 전문으로 센터는 사실상 없었다는 것이 무역협회 진단이다. WTO 등 다자간 무역체제 확립 이후 관세장벽 완화로 세계무역은 급성장했지만, 최근 많은 국가가 다시 비관세 장벽을 세우고 무역분쟁이 격화되고 있다.

Photo Image
김영주 한국무역협회장이 17일 서울 강남구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통상전략 2020 발표 오찬간담회에서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내 통상조직을 확대하는 추세다.

국내 대기업도 이미 철강 반덤핑 관세 조치 등에 대응하기 위해 세무·법무 아래 뒀던 통상 조직 규모를 팀에서 실단위로 격상하고 있다.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에도 통상 문제는 기업의 기업 주요현안으로 자리잡으면서 협회를 상대로 한 애로·문의도 급증하는 추세다.

무역협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통상지원단을 중심으로 전문연구기관과 협업을 통해 이같은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와 원인을 진단한 '통상전략 2020'을 준비했다. 일종의 '통상 싱크탱크'가 될 통상정보전략센터 마련 계획도 협회 차원의 대응방안이다.

통상전략 2020에 따르면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가 과거와 달리 '지역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아시아와 유럽에선 최종 소비지에 제조공장을 세우는 흐름이 거세질 전망이다. 기업이 생산지를 결정하는데 스마트공장, 로봇 등 자동화와 같은 기술 발전 역할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영주 한국무역협회장은 “수동적으로 해왔던 통상 리스크 대응을 이제는 세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대응하는 지 원인부터 짚어보고 기업 차원에서 역량을 강화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세워야한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방향성을 고려하고 수출 및 투자 지역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전략이 결국 통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대응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