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증권사의 해외법인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5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남방정책(중국·미국 중심의 한국경제 지형을 아세안, 인도 등으로 확대)과 더불어 아세안과 인도에 진출한 해외점포 수의 비중 및 수익이 점차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2018년 국내 증권회사 해외점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현지법인 당기순이익은 1억2280만달러(1351억원)로 전년 대비 155.7%(7480만달러) 증가했다.
자기자본규모 확충을 통한 업무범위 확대와 IB사업 활성화에 따른 수익 증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다.
우선 대형사인 종합금융투자사업자(6개사)를 중심으로 베트남 등 동남아 진출이 활발했다. 이들은 유상증가 및 현지법인 인수 등으로 해외 영업규모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특히 중개·IB업무 활성화 및 전담중개업무 진출로 수익원이 다양화돼 당기순이익이 2017년 4800만달러에서 지난해 1억2280만달러 크게 늘었다.

지역별로는 △홍콩 5760만달러 △베트남 1830만달러 △인도네시아 1770만달러 △미국 1620만달러 △인도 570만달러 △브라질 350만달러 △영국 240만달러 △태국 210만달러 △싱가포르 40만달러 △몽골 10만달러 △캄보디아 10달러 등 11개국에서 위탁·인수 수수료수익과 이자수익이 증가하면서 흑자를 기록했다.
신남방정책과 더불어 아세안과 인도에 진출한 해외점포 수 비중도 점차 늘고 있다. 실제 신남방 관련 6개국에 진출한 국내 증권사의 해외점포 비중은 2016년 29.4%에서 2017년 30.2%, 지난해 33.9%로 상승세다.
지난해 말 해외현지법인 자산총계는 494억9000만달러(55조3000억원)로 전년 말 대비 50.6%(166억3000만달러) 증가했다. 자기자본은 47억3000만달러(5조3000억원)로 전년 말 대비 81.9%(21억3000만달러)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증권회사가 해외 진출시 발생할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등을 청취하고 적극 지원할 것”이라면서 “해외투자 관련 잠재 리스크와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등 모니터링 체계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