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불안정 논란··· 이통사 "망 최적화에 전사 역량 총동원"

네트워크 불안정...비상체제 돌입

Photo Image
문재인 대통령이 5G 상용화를 기념했다.

5세대(5G) 상용화 이후 네트워크 끊김 현상 등 불안정 문제가 발생하자 이동통신사가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이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망 최적화와 안정화에 전사 역량을 총동원한다.

전문가들은 5G 불안정은 차세대 통신망 상용화 과정에서 불가피한 '성장통'이라는 판단이지만, 이통사는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5G 완성도를 높이는 게 이통사 당면 과제로 부상했다.

◇정부-이통사 5G 안정화 대책

5G 상용화 이후 동영상 재생시 느려짐, 실내 통신 불가능, 실외에서 속도저하가 발생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이같은 현상은 5G만의 문제로 단정할 수 없다. 2010년 3G 상용화 초기에도 통화끊김 문제가 지속됐고, 롱텀에벌루션(LTE)은 2012년 3월 가입자 300만명 달성까지일부 불안정이 지속됐다. 처음부터 완벽한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방증이다.

이통 3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5G 망안정화를 위한 긴급 대책회의를 했다. 이통사와 정부는 5G 통신망 과도기 필연적 현상이라는데 공감하면서도, 정확한 원인분석과 더불어,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원인은

이통사는 5G 초기 불안정 핵심 원인으로 LTE와 5G망간 핸드오버 과정에서 소프트웨어(SW) 오류와 문제와 중계기 문제를 지목했다.

이통사는 지난해 12월 1일 5G 네트워크 상용화 이후 4개월 간 망연동 테스트를 했다. 일반적 플래그십 LTE 스마트폰의 경우 1년간 망연동 테스트하는 것에 비해 훨씬 짧은 기간으로, 핸드오버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를 예측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상용화 이후 예상하지 못했던 SW 오류가 속출하자, 이통사와 삼성전자는 상용화 이후 최대 5회에 이르는 SW 업그레이드로 상당한 안정성을 확보했다. 실제 본지 체험결과, 10여차례 핸드오버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일부 느려짐은 있지만, 통신망 단절은 발생하지 않았다.

기지국과 단말기에 비해 5G 중계기가 아직 완벽하게 확보되지 않았다. 5G가 활용하는 3.5㎓ 대역은 특히 실내(인빌딩) 커버리지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 일상 생활공간에서 제대로된 커버리지를 확보하지 못하다보니 이용자 불만도 그만큼 커졌다. 이통사는 기술업체 등과 협의해 중계기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도입할 방침이다.

◇소통 강화

5G 상용화에 대해 이통사와 이용자간 소통이 부족했다는 점도 5G 망품질 논란 핵심 원인이다.

이통사는 초기 5G를 LTE의 부가서비스 또는 얼리아답터 층을 겨냥한 서비스로 고민했다. 하지만, 이통사는 세계최초 5G 상용화를 통한 4차산업혁명 대응이 국가 어젠다로 부상한 이후 대중 서비스로 전략을 수정했다.

5G 가입자 유치가 중요한 경영 목표가 됐다. 이통 3사는 일주일만에 10만명 가입자를 유치하는 경쟁 속에 서비스 초기 부족할 수 밖에 없는 품질과 커버리지에 대해 제대로 된 설명이 부족했다.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 긴급대책 회의에서도 '소통 강화' 문제가 중요한 해결책으로 부상했다. KT에 이어 SK텔레콤도 5G 커버리지맵을 제공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도 커버리지 맵 제공을 검토 중이다. 이통사는 커버리지 맵 외에도 품질에 대한 충분한 설명 등 고객 안내를 강화하기로 했다. 연내 망안정화를 지속하되, 품질이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프로모션 연장 등도 검토한다.

전문가는 “5G 일시적 불안정은 네트워크 진화를 위한 성장통”이라면서 “세계최초 5G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인 5G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기다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표〉5G 네트워크 과도기 불안정 원인

5G 불안정 논란··· 이통사 "망 최적화에 전사 역량 총동원"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