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무기체계, 인터넷과 연결된 것 모두 '무기'라고 생각해야"

Photo Image
이재우 동국대 석좌교수가 국가 사이버위협 및 군의 역할을 주제로 기조강연하고 있다.

“앞으로 군 무기체계는 인터넷과 연결된 모든 것이 '무기'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군에서는 모든 것을 사물인터넷(IoT)이 아니라 'IoW(Internet of Weapon)'으로 새롭게 정의 내려야 합니다.”

이재우 동국대 석좌교수는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8 국방사이버안보콘퍼런스'에서 '국가 사이버위협 및 군의 역할'을 주제로 이 같이 밝혔다.

사이버 전은 단순히 북한과 대치하는 한국에만 국한된 얘기는 아니다. IT 발전과 함께 세계 각국은 사이버 특수전력을 육성하고, 사이버전 부대를 창설하는 등 사이버국가안보 강화에 많은 공을 들인다.

국내서도 사이버 전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 국군은 사이버사령부를 '사이버작전사령부'로 확대 개편했다. 합참의장 지휘 하 사이버공간에서 작전사령부로 위상을 재정립한다.

이 교수는 사이버작전사령부의 고도화를 위해 △국가차원 총력 △군 전문화 △군 내 사이버 무기 개발 등을 제언했다.

그는 “국가 차원으로 사이버 총력전 체제 확립이 우선으로 국가사이버안보는 개별 개인이나 조직이 아니라 민·관·군이 협동 체제를 이뤄야 한다”면서 “사이버작전사령부는 전 국민의 지원받아 선도 위치에서 사이버 안보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군 전문화가 필요하다. 이 교수는 “사이버 안보 중추 전력, 사이버 무기, 인력, 기술, 작전 전문화를 통해 군 전체 사이버전 능력을 높여야 한다”면서 “사이버전 전력 기준은 병력규모가 아닌 첨단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얼마나 첨단화됐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이버 보안 관련 개발은 군 내부에서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운용체계(OS) 소프트웨어(SW)도 군에 적합한 맞춤형 개발이 필요하다. 이 교수는 “군 보안을 고려해 누가 개발했는지, 어떤 언어를 사용했는지, 무슨 목적으로 개발했는지 노출되면 안 된다”면서 “아웃소싱이 필요한 경우, 일부 기술지원에만 한정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국방 사이버 안보 중요성과 군 역할'을 주제로 기조연설, 좌담회, 정책, 기술 소개 등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정책 세션에서는 송명근 중령의 '국방 사이버안보 역량 강화 방안', 김인순 전자신문 부장이 좌장을 맡아 '사이버안보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대학생 패널토의를 가졌다. 기술 세션에서는 문종현 이스트시큐리티 센터장 '적 해커조직 공격 최신 동향', 문대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 '사이버 자가방어 기술' 등이 이어졌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