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대국민 서비스 분야 서류 제출 편리성을 강화하고, 챗봇·드론 등 신기술을 업무에 도입하는 등 일하는 방식을 혁신했다.
행정안전부는 정부가 지난 1년간 첨단기술을 활용해 일하는 방식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실제 여러 분야에서 변화를 만들고 있다고 4일 밝혔다.
공공기관을 직접 방문해 산더미 같은 서류를 제출하던 불편이 줄었다. ICT를 적극 활용해 업무처리를 종이문서 제출에서 온라인 접수·처리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서류제출 비용·방문시간 등 사회적 비용과 국민 불편을 대폭 줄였다.
실시간 신속한 현장행정도 확산됐다. 서울·전국 지역지식재산센터 9곳에서 기관 방문 없이 민원인과 심사관 간 온라인 영상으로 실시간 소통한다. 단계적 영상회의 연결방식을 통해 중앙부처에서 지자체 읍·면·동 공무원까지 정책과 현장상황을 신속하게 공유했다. 장·차관 등 부처 간부가 국내외 현장 방문 시 노트북·모바일에서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대민업무 지연도 방지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불필요한 민원서류 폐기·통폐합과 전자적 민원접수·처리, 부처 간 정보 공동 활용 협업 등 업무프로세스 단축·효율화를 이뤄 원스톱 정부 구현을 중점 추진한다. 기존 사후 대응 행정에서 사물인터넷(IoT)을 적극 활용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전 알림 서비스 등 선제적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일하는 방식의 패러다임도 바꾼다.
김일재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기존 일하는 방식 혁신은 내부 업무효율성 향상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이제는 정부가 효율적으로 일하면서 늘어나는 국민수요에 비해 부족한 행정력을 보완하고 행정서비스 사각지대를 예방해 국민의 신뢰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