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 소속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먼저 도입한다.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범위를 기존 공공기관에서 중앙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로 확대 계획을 밝힌 후 첫 추진 사례다.
20일 정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소속기관 인프라 클라우드 이전을 추진한다.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활성화를 위해 수요 있는 중앙기관이 앞장서 시범케이스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정부 관계자는 “중앙부처 차원에서 민간 클라우드를 선제적으로 활용해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을 이끌겠다”면서 “클라우드 정책 주무부처가 앞장서면 공공에서도 클라우드 활성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적 이전으로 공공에서 클라우드를 활용해도 문제가 없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다.
행안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옛 정부통합전산센터), 과기정통부는 우정사업본부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것을 해당기관과 조율하고 있다. 교체시기에 놓인 노후장비나 신규 정책사업으로 수요가 발생한 인프라부터 순차 이전이 이뤄진다.
행안부 관계자는 “과기정통부와 조율 중인 사안으로 10월 중 도입방안과 범위, 일정 등을 발표할 계획”이라면서 “시일이 걸리겠지만 전면전환(클라우드 올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달 초 행안부가 발표한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기본계획'에 따른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공공에서 클라우드를 도입할 수 있도록 계약제도를 정비한다. 사용량에 따른 비용을 지불할 수 있도록 예산 집행 기준도 세워야 한다. 공공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주체가 다를 경우 계약방법 수립도 필요하다.
그동안 민간 클라우드 확산에 장애가 됐던 행안부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은 올 연말 폐지된다. 조달청은 최근 공공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서비스 계약조건'을 별도로 제정하는 등 공공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 확산 노력도 병행한다.
클라우드 업계는 그동안 미온적이었던 행안부가 클라우드 도입에 적극 나서면서 공공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본다. 시장이 열리면 서비스형인프라(IaaS)를 제공하는 네이버를 비롯해 베스핀글로벌, 이노그리드, 나무기술 등 클라우드 솔루션이나 기술 보유기업에게 새로운 시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행안부가 입장을 전향해 고무적”이라면서 “아마존의 미국 CIA(중앙정보국) 레퍼런스 확보가 세계시장 진출 기폭제가 됐듯 공공 레퍼런스 확보는 우리나라 기업의 국내외 시장 진출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업계는 속도전을 요구했다. 각종 제도 정비와 클라우드 도입 예산 반영을 고려하면 공공 클라우드 활성화는 2020년쯤 본격화될 전망이다. 너무 늦어진다는 지적이다.
이민화 KCERN(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은 “클라우드가 4차 산업혁명 성공의 '바로미터'”라면서 “공공에서 클라우드 확산 방침이 선 만큼 신속한 정책·제도 지원을 통해 클라우드 발전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