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BS 산업 규모 1조2189억원

국내 위치정보서비스 산업 시장 규모가 1조2189억원에 이른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석환)은 2017 국내 위치정보서비스(LBS)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위치정보서비스 전체 시장에서 광고마케팅과 상거래 서비스가 2016년 매출 기준 2915억원, 생활·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1143억원으로 두 분야가 전체 49%를 차지했다. 응답 사업자 중 36.7%는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매출이 현재 2.1%에 불과하나 전망이 밝을 것으로 봤다.

Photo Image
GettyImages

사업자는 위치정보서비스 주요 적용 단말이 현재 스마트폰〃태블릿(94.7%), 전용 단말(64.8%)에 집중된 상황과 달리, 1~2년 후에는 자율주행차(79.6%), IoT(51.3%), 웨어러블 단말(37.7%), 드론(35.4%), 로봇(30.4%) 등으로 다각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제도 개선(44.0%), 인허가 절차 개선(21.6%)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위치정보의 이용 및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관련 개선 사항으로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43.0%), 개인위치정보 수집에 따른 통지 의무(42.0%) 조항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정부 공공 인프라 사업 R&D 과제 확대(39.8%), 우수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육성 지원(35.7%) 등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실태조사는 2017년 7월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893개 위치정보사업자와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를 대상으로 8월부터 10월까지 온라인 설문지, 방문, 전화, 이메일을 이용했다.

김호성 KISA 개인정보기술단장은 “IoT 등 ICT 기술 발전에 따른 위치정보 응용 산업의 환경변화를 반영해 사업자가 창의적이고 편리한 위치정보서비스를 개발해 경쟁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 개선에 힘쓴다”면서 “최소한의 기술 보호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인프라 지원과 사업자 간담회, 위치기반서비스 공모전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순 보안 전문기자 ins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