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재부품 기술개발에 '신뢰성 바우처'…4차 산업혁명 대응형 전환

Photo Image

정부가 소재부품 기술개발 사업에 '신뢰성 바우처'를 새로 도입한다. 각종 정부 지원 사업을 쿠폰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기업 수요에 맞춰 적시에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15개 소재·신뢰성 센터를 5대 융합 얼라이언스 체계로 개편해 융·복합 지원 체계를 갖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413억원이 투입되는 '소재부품기술기반혁신' 사업을 4차 산업혁명 지원형으로 개편·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제4차 소재·부품발전기본계획' 후속 조치다.

신뢰성 바우처 제도는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업 수요를 적시에 바로 지원하는 수시형,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이다. 기존 일회성, 공급자 중심 신뢰성 향상 기술개발 지원으로는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힘들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신뢰성 바우처는 격월로 수시 신청을 받는 '수시지원형(300만~5000만원 이하)'과 연1회 상반기에 신청 받는 '정시지원형(5000만 초과~1억원 이하)'으로 나뉜다. 신뢰성 바우처를 받은 중소·중견기업은 신뢰성 평가, 수출 지원, 테스트베드 활용 등 정부 지원을 발급 후 2개월 안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산업부는 12대 신산업과 100대 신소재부품 기술, 해외 진출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15개 소재·신뢰성 센터를 5대 융합 얼라이언스 체계로 개편한다. 금속, 화학, 섬유, 세라믹·전자, 기계·자동차를 중심으로 센터 간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융·복합 기술 지원 체계로 전환한다.

융합 얼라이언스별 대표 기관을 통해 기업 수요를 접수하고, 대표 기관을 중심으로 관련 센터 간 연계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 융·복합 추세에 대응하고, 기업 애로사항을 한 번에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또 기존 센터별 특화 분야 외에 12대 신산업 분야로 센터별 전문·특화 분야를 확대한다.

산업부는 기업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픈랩(Open-Lab)을 특정·전문 장비까지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물성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강화할 계획이다.

가상공학 플랫폼도 구축한다. 올해 28억원이 투입되는 가상공학 플랫폼은 소재 선택과 설계부터 공정·시험까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개발할 수 있다. 5대 융합 얼라이언스 분야별로 단독형 또는 협력형으로 매년 5개 내외를 구축한다. 또 플랫폼 구축 센터를 중심으로 가상공학 해석 연구원을 선발하고 민간 취업 유도와 함께 연구개발(R&D) 인력 양성도 강화한다.

문신학 산업부 소재부품정책과장은 “올해 소재부품 기반기술 혁신 사업은 각 업종별로 수직적이고 칸막이식으로 이뤄지던 지원 체계의 경계를 허물고 융·복합형으로 바꾸는 것에 의미가 있다”면서 “급격한 기술 변화가 일어나는 4차 산업혁명에 맞춰 기업의 전주기 활동을 적시에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신뢰성 바우처 지원 프로그램,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신뢰성 바우처 지원 프로그램,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양종석 산업경제(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