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대,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트랜지스터 개발 성공

E·D-모드 동작 구현, 혁신적 모노리식 구조로 효율성 극대화
다이아몬드 소재,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활용 기대

Photo Image
세계 최초로 이종성장 단결정 다이아몬드 웨이퍼 위에 E-모드 및 D-모드 동작을 구현하는 모노리식 다이아몬드 트랜지스터 개발에 성공한 한국공학대 유근호 박사, 남옥현 교수, 곽태명 박사(왼쪽부터).

한국공학대학교(총장 황수성) 나노반도체융합센터 남옥현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이종성장 단결정 다이아몬드 웨이퍼 위에 E-모드(Enhancement mode) 및 D-모드(Depletion mode) 동작을 구현하는 모노리식 다이아몬드 트랜지스터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세계 반도체 시장 주도권 경쟁에서 반도체 성능을 높일 다이아몬드 웨이퍼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남 교수 연구팀의 세계 최초의 다이아몬드 웨이퍼 및 소자기술이 특허로 출원했다.

남 교수 연구팀은 반도체 모드를 각각의 단일 소자로 구현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반도체 E-모드와 D-모드를 웨이퍼 상에 하나의 모노리식으로 동시 구현하는 기술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개별 소자의 복잡한 공정 과정을 단순화하고, 소자의 효율성을 높여 이전 기술보다 전력 소모를 줄이며, 회로의 성능을 극대화한 기술로 전력·전자기기 성능과 효율 높일 수 있어 차세대 전력·전자기기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다이아몬드 소재를 활용한 반도체 기술이 미래 산업 혁신을 이끌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특히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우주용 반도체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다이아몬드 소재는 높은 내방사선성, 내전압성, 그리고 뛰어난 열전도 특성을 모두 갖춘 최고의 반도체 소재로 알려졌다.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의 반도체가 목성의 우주 방사선에 취약한 것이 알려져 내방사선 다이아몬드 반도체 기술 선점이 국가 간 반도체 경쟁 이슈가 되면서 더욱 관심이 높아졌다.

다이아몬드는 결정 내부의 질소 공공 구조(NV 센터)를 활용해 양자 큐빗 및 양자자기센서로 응용될 수 있고, 다른 물질보다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해 차세대 양자 기술의 광원소재로써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 남 교수 연구팀은 다른 종류의 기판 위에 단결정 소재를 성장하는 기술인 이종성장기술을 활용해 20×20mm²크기의 단결정 다이아몬드 웨이퍼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로써 반도체 산업에서 대구경 다이아몬드 반도체 소자를 활용한 기판을 상용화하는데 가능성을 높여준 계기가 됐다.

황수성 총장은 “한국공학대는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20여 년 간 반도체 연구와 교육에 투자해왔다”며 “이번 성과와 같이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지난달 13일부터 5일간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와이드갭 반도체 국제학술대회(APWS-2024)' 에 초청돼 구두 논문으로 발표했다.


시흥=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