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ICBM` 품는다

Photo Image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가 인공지능(AI)을 비롯해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 신기술을 품는다. 정부는 새해 융·복합 표준플랫폼을 구축하는 정보화전략계획(ISP) 사업을 수행한다.

행정자치부는 23일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서울청사에서 `차세대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포럼`을 열고 전자정부 표준플랫폼 추진 계획을 발표한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SW) 개발 기술과 서비스모듈(공통컴포넌트)을 모아 구성한 표준 플랫폼이다. 2009년 개발돼 5단계 구축 사업을 거쳐 7년 동안 전자정부 SW 개발 기반 역할을 했다. 686개 업무, 1조7000억원 규모에 이르는 공공정보화 사업에 적용됐다. 국내뿐만 아니라 몽골, 베트남 등 9개국 17개 정보시스템 사업에 쓰였다.

Photo Image

문제점도 나타났다. 지진 발생 시 긴급재난 문자 발송 지연, 부처 게시판 개인정보 노출 등 이용 장애와 보안 취약성을 드러냈다. 신기술을 활용한 통합 플랫폼과 관리체계 구축이 요구됐다.

표준프레임워크 적용 근거 법이 부족했다. 최근 5년 동안 공공정보화 사업 조달 제안요청서(RFP) 분석 결과 표준프레임워크 적용률은 50%에 못 미쳤다.

행자부는 디지털 핵심 기술 확산과 발전에 맞춰 차세대 전자정부 표준플랫폼을 구축한다. 융·복합 표준플랫폼을 도입하는 정보화전략기획(ISP)을 수행한다. 이른바 `ICBM(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을 접목한다. IoT 기반의 데이터 수집, 빅데이터 분석, AI 알고리즘 기반 지능형 의사 결정,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적용한다. 표준 프레임워크로 지능형 전자정부 환경을 조성한다.

법과 제도를 정비한다.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지침`에 표준 프레임워크 도입 규정을 신설한다. 전자정부 지원 사업 관리 지침을 개정, 표준 프레임워크 적용 계획 수립과 성과 반영 등을 규정한다.

장영환 행자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표준 프레임워크가 공공정보화 시장에서 중소 SW 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면서 “차세대 전자정부 구축에 기여하도록 ICBM을 접목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