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기술아키텍처(EA) 도입 10년을 맞아 성과관리체계를 재편하고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신기술 활용을 확대한다.
행정자치부는 30일 서울 종로 나인트리컨벤션에서 `2016년 공공부문 EA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EA는 정보화에 필요한 구성요소와 상호관계를 정리한 정보기술(IT) `종합 설계도`다. 정보자원을 쉽게 식별 관리해 효율성을 높이고 구축비용은 줄인다. 정부는 2005년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2006년 범정부 EA 도입을 시작했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200개 대상 기관 중 121곳이 EA를 도입했다. 17개 광역자치단체는 모두 EA를 구축했다.
정부는 EA를 공공 정보화 투자관리 도구로 활용했다. 차년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사전 검토했다. 지난해에는 2016년 사업 중복성 검토 결과 934억원 규모 예산조정효과를 얻었다.
기관별 활용 효과도 나타났다. 농림부는 전자결재시스템 통폐합으로 예산 106억원을 절감했다. 대전시는 최근 2년 간 EA 사전검토를 실시해 예산 12억원을 줄였다.
개선해야 할 과제도 있다. 2015년 기관별 EA 성숙도 수준을 측정한 결과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는 5점 만점에 각각 3.95, 3.70이었다. 공공기관은 2.50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공공기관은 활용성과(1.20)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았다.
행자부는 범정부 EA 10년을 계기로 3개년 계획(2017~2019년)을 수립한다. 정보자원 관리체계를 상시 등록으로 바꾼다. 종전에는 특정시점에 등록하는 방식이었다.
기관별 운영·관리수준을 고려해 EA성과점검체계를 재편한다. 성숙도 수준 측정 후 개선이 필요한 기관에 전문컨설팅을 지원한다.
범정부 EA포털을 개선한다. 정보입력기능을 간소화하고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인다. 개별 기관에 별도 예산 부담 없이 EA정보시스템을 제공한다.
활용 차원에서는 기존 성과를 분석해 정보자원 생애주기별 운영 효율화방안을 마련한다. EA포털 정보를 중요도와 신뢰도에 따라 분류한 후 외부기관 활용요구가 높은 정보는 통계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신기술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지원 기능도 강화한다.
장영환 행자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EA를 활용한 정보화 예산 절감과 서비스 효과가 확산됐다”면서 “범정부 EA 기반 서비스 연계·통합을 지속 추진하고 운영성과 관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행자부는 이날 행사에서 2016년 공공부문 EA 성과 우수기관을 선정해 시상했다. 여성가족부, 농림수산식품부, 대구시, 충북 음성군, 근로복지공단 등이 행자부장관표창을 받았다.
<분야별 EA 성숙도 수준>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