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통신비 얼마 줄이셨습니까?"

Photo Image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가계통신비 절감액 추이알뜰폰 이동통신시장 점유율

알뜰폰이 순항하고 있다. 연초 `제로요금제` 돌풍 때 `얼마나 가겠나`하는 의심도 일었다.

이동통신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한 알뜰폰이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다는 회의론도 나왔다. 기우였다. 저력을 발휘하며 상반기에만 47만명을 모았다. 이제 새로운 목표를 꿈꾼다. 700만 가입자와 점유율 11% 달성이다. 낮은 인지도 극복, 고객서비스 향상이 최대 과제로 손꼽힌다.

◇알뜰폰, 빠른 성장

알뜰폰(MVNO) 성장은 눈부시다. 6월 639만명을 넘었다. 이통시장 점유율 10.8%다. 국민 열 명 중 한 명은 알뜰폰을 쓴다는 말이다. 2011년 7월 47만명으로 시작해 5년 만에 네 번째 이동통신으로 컸다. 점유율 10%에 걸린 시간은 4년 4개월로, 프랑스·스페인 6년보다 빨랐다. 세계에서 전례를 찾기 힘든 속도다.

알뜰폰은 싸다. 통신망을 직접 깔지 않고 통신사에서 빌리기 때문이다. 품질은 같으면서 가격이 저렴하다. 알뜰폰 사용자가 늘수록 가계통신비 인하효과가 커진다.

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2011년부터 올 연말까지 누적 통신비 2조8000억원 절감효과를 추정했다. 2019년까지 5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통시장 경쟁구도도 변했다. 오랫동안 5대 3대 2를 유지하던 이통시장은 알뜰폰 등장으로 45:25:20:10으로 바뀌었다. 알뜰폰이 제4이동통신 역할을 한 셈이다.

협회 관계자는 “알뜰폰은 현 정부 공약인 `가계통신비 인하`에 큰 기여를 했다”고 말했다.

◇정부지원·업계 노력 `손발 척척`

알뜰폰 고속 성장은 정부 역할이 컸다. 시장을 만든 것도 정부이고, 키운 것도 정부다. 2011년 알뜰폰 도입 이후 매년 진흥책을 내놨다. 덕분에 알뜰폰이 통신망을 빌리며 이통사에 내는 돈(도매대가)은 해마다 줄었다. 올해 9월 만료 예정이던 전파사용료 감면 기한도 내년 9월로 재차 연기했다.

통신망을 의무 임대해줘야 하는 `도매제공의무사업자`도 9월 만료 예정이었으나 3년 연장했다.

Photo Image

가장 큰 공은 우체국이 세웠다. 눈에 보이는 판매망이 없는 알뜰폰에 우체국은 천군만마였다. 더욱이 우체국은 신용이 좋다. `우체국이 팔면 믿을 만하다`는 평가를 얻은 게 알뜰폰 확산에 큰 도움을 줬다. 2013년 9월부터 올 8월까지 63만여대를 판매했다.

젊은 층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알뜰폰 허브사이트(www.알뜰폰.kr)`를 만들었다. 지난 7월에는 통신시장 경쟁정책을 발표하며 “알뜰폰을 실질 경쟁주체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알뜰폰도 참신하고 저렴한 서비스로 호응했다.

에넥스텔레콤 제로요금제가 대표 사례다. 연초 이통시장을 강타한 제로요금제는 기본료 `0원`이면서 무료통화를 50분 제공했다. 파격 서비스에 고객이 몰리면서 우체국 업무가 마비됐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덕분에 우체국 알뜰폰 가입자가 지난해보다 234%나 늘었다. 이지모바일은 군장병에게 스마트폰을 대여하는 독특한 아이디어로 가입자를 빠르게 늘렸다.

◇낮은 인지도·고객서비스 향상은 과제

알뜰폰 점유율이 10%를 넘으면 성장속도가 떨어지는 게 세계 각국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알뜰폰에 대응하기 위해 이통사가 가격을 내리면서 격차가 감소,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할 유인이 적어지는 것이다. 알뜰폰은 이 점을 가장 경계한다.

그래서 나오는 게 `질적 성장`이다. 양을 늘리면서 내실도 다지자는 것이다. 이게 가능하려면 롱텀에벌루션(LTE) 가입자가 늘어야 한다. 지난해 12월 기준 알뜰폰 LTE 비중은 15%, 3G는 85%다. 이통 3사와 반대다. 마침 이달 알뜰폰이 일제히 LTE 신규요금제를 내놨다. LTE는 3G보다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알뜰폰 내실강화에 도움이 된다. LTE 가입자가 이탈한다면 이통사도 더욱 긴장할 가능성이 높다.

알뜰폰도 서비스 품질을 높여야 한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알뜰폰 피해구제 접수 건은 지난해 234건, 올해 7월까지 131건이었다. 이 가운데 40%가량이 고령자 대상이었다. 전화권유를 통해 부당판매를 한 것이다. 적자를 이유로 서비스센터를 부실하게 운영하는 관행도 없애야 한다.

인지도 향상은 중요한 과제다. 많은 사람이 통신비를 부담스러워하면서 알뜰폰을 잘 모른다. 알뜰폰을 안다고 해도 `휴대폰 이름인 줄 알았다`거나 `통화가 안 될 것 같다`는 등 잘못 아는 일이 많다. 알뜰폰 브랜드 홍보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김경진 의원(국민의당)은 “알뜰폰 가입자가 늘고 통신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는데 정부는 알뜰폰 전파에 소극적”이라면서 “알뜰폰 홍보예산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알뜰폰 가입자 및 이동통신시장 점유율>

알뜰폰 가입자 및 이동통신시장 점유율

<우체국 알뜰폰 연도별 판매 현황>

우체국 알뜰폰 연도별 판매 현황

<가계통신비 절감액 추정>

가계통신비 절감액 추정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