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개 중앙부처 시스템을 운영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 유지보수사업이 2018년부터 단년에서 2년 이상 장기계약체계로 완전 전환된다. 참여기업 전문성 축적을 통한 사업품질 강화와 고용 안정화를 위해서다. 현재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지방자치단체 유지보수사업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행정자치부 정부통합전산센터(이하 통합센터)는 20일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17년 운영지원 및 유지관리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내년 사업 규모와 주요 정책을 발표한다.
통합센터는 내년 총 1358억원 규모 13개 운영지원·유지관리 사업을 발주한다. 신규 사업은 7개, 약 700억원 규모다. 센터별로는 대전 9개, 광주 4개다.
내년 신규 사업 7개 가운데 6개는 2년 장기계속계약으로 나온다. 대전센터 정보시스템2군·우체국금융·우편사무경영·보안통신인프라, 광주센터 정보시스템2군·보안통신인프라가 적용 대상이다.
통합센터는 올해부터 일부 신규 사업에 장기계약체계를 도입했다. 2016년 신규 사업 12개 중 6개가 2년 계약이었다. 이를 포함하면 내년에는 총 13개 사업 중 1개를 제외하고 모두 장기계약을 취한다.
통합센터는 중소 정보기술(IT)기업 역량 강화와 사업품질 개선 등을 위해 운영지원·유지관리사업을 단년에서 장기 계약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앞서 수차례 간담회를 갖고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그간 1년 계약 방식은 잦은 사업자 교체로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수행기업 측면에서도 해당 분야 경험과 노하우를 이어가기 힘든 문제가 발생했다. 1년 후 사업을 담보할 수 없어 인력을 충원하기도 쉽지 않았다.
2018년부터는 13개 전체 사업을 장기계약체계로 바꾼다. 내년 사업 중 유일하게 단년 계약이 예정된 대전센터 공개소프트웨어(SW) 유지관리사업도 2018년부터 장기계약으로 전환한다. 공개SW 유지관리사업은 최근 정부가 진행 중인 클라우드 확산 정책에 따라 사업내용 변경이 예정됐다. 통합센터는 2018년 해당 사업을 `클라우드 시스템 유지관리 사업`으로 바꿔 장기계약을 적용한다.
통합센터는 장기계약체계 전환으로 사업품질 향상과 정보시스템 운영 효율화 효과를 기대했다. 수행기업 고용 안정화, 기술전문성 축적 등도 예상했다.
장기계약체계 도입으로 업체 간 수주경쟁 심화는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1년마다 돌아오던 사업자 교체기간이 2년 이상으로 길어지기 때문이다. 통합센터 관계자는 “검토 과정에서 장기계약으로 인한 효용이 더 크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며 “운영에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통합센터는 사업 투명성 확보 차원에서 청렴계약 위반 제재를 강화한다. 위반업체에 부과한 벌점 적용기간을 2년에서 3년으로 늘린다. 해당 기업은 물론 하도급업체도 3년 간 제안평가 시 감점 페널티를 받는다.
통합센터 장기계약이 지자체 정보시스템 유지보수사업에도 영향을 줄지 지켜볼 일이다. 지자체 정보시스템을 담당하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현재 1년 단년도 계약으로 유지보수업체를 선정한다. 일부 2년 계약을 맺기도 했지만 단년도 계약이 기본 방식이다.
통합센터는 20일 설명회에서 사이버침해·장애감시체계 전환 계획도 소개한다. 민간기업 상용 솔루션으로 운영하던 침해·장애감시체계를 센터에 맞춤화된 시스템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한다. 보안관제(ESM)·서버관리(SMS) 등이 전환 대상이다.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