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이동통신 유통시장 판이 바뀐다 <중>대형 유통점 중심으로 재편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이통3사 직영점 및 판매점 현황

이동통신 시장 포화는 기존 판매 방식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더 이상 과도한 보조금과 비싼 요금제 악순환은 유지되기 어려웠다. 이용자는 불필요한 고가요금제, 부가서비스에 시달렸고 통신사는 의미 없는 가입자 뺏기 싸움을 계속했다. 이때 등장한 것이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다.

단통법 가장 큰 특징은 차별금지다. 이용자에게 주는 혜택을 시간이나 장소, 가입 유형에 따라 차별해선 안 된다. 이에 따라 기기 변경 시장이 급성장했다. 단통법 이전 26% 정도이던 기변 비중은 현재 50%를 넘나든다. 20% 요금할인(선택약정)도 단통법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장 참여자들은 변화를 꾀했다. 이동통신사는 직영점을 강화했다. 가입자 유치 덕목이 보조금에서 서비스로 바뀌면서 직영점 운영 필요성이 커졌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이통3사 직영점은 2014년 1분기 1100개에서 작년 4분기 1487개로 늘었다. 이통사 자회사도 판매망을 확충하고 있어 이통사 직접 영향권에 있는 매장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유통점도 적극 가세했다. 선택약정이 인기를 끌면서 굳이 이통사 대리점에서 가입할 필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롯데하이마트 등 대형 유통점은 카드할인 같은 강력한 마케팅 수단도 갖췄다. 더욱이 차별금지로 발품 팔 일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이용자 발길이 대형매장으로 이어지는 일이 많다. 대형유통점 가세는 이통사와 단말기 판매를 분리시키면서 단말자급제 도입 효과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 같은 제조사가 전면에 나선 것도 특징이다. 우리나라 이동통신 유통시장은 95% 이상을 이통사가 차지한다. 제조사는 단말기만 공급할 뿐 지금까지 유통에 큰 공을 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단통법과 선택약정 등장으로 제조사도 판매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갤럭시 클럽`이라는 단말 업그레이드 프로그램까지 도입하기도 했다.

이처럼 큰 변화의 물결 속에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진영이 중소유통점이다. 이들은 이통사가 지급하는 판매 장려금이 주된 수입원이다. 하지만 기변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타격을 입었다. 번호이동에 비해 기변 장려금이 적기 때문이다.

이들은 단통법 시행 전 1만2000개이던 중소유통점이 현재 1만1000개로 줄었다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정부 공식 통계와 달리 실제로 폐점 위기에 몰린 점포는 더욱 많다는 것이다. 지난 23일에는 이례적으로 시민단체와 연계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통사 직영점 주말영업을 금지하는 등 정부가 상생방안을 여러 차례 마련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정부는 고비용 저효율 구조로 돌아갈 수는 없다는 단호한 입장이어서 향후 중소 유통점 생존권 문제 해법을 놓고 논란이 일 전망이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