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전해질을 용액에 녹여 전극 부분에 코팅하는 방식의 새로운 전고체 배터리 제조 기술이 나왔다.
정윤석 UNIST(울산과기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와 서울대 오승모 교수 공동 연구팀(이하 정 교수팀)은 액상코팅이 가능한 고성능 고체 전해질을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이 고체 전해질로 만든 ‘전고체 리튬전지’는 기존 전지에 비해 에너지 저장 용량이 크고, 출력 성능도 향상됐다.
이 연구 성과는 지난 22일자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온라인판에 실렸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8684_20151229142737_329_0001.jpg)
폭발이나 화재 위험이 없는 전고체 전지 개발은 고체 전해질 제조와 적용이 핵심이다.
문제는 고체 전해질은 분말 형태라 액체 전해질처럼 전극에 고루 스며들지 않기 때문에 전지 성능을 발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 교수팀은 고체 전해질을 전극 활물질(에너지를 저장하는 물질)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했다. ‘액상법(solution-process)’이라 불리는 이 공정은 고체 전해질을 녹인 용액에 분말 형태의 활물질을 섞어 분산 후 액체 용매를 증발시키는 기술이다. 이렇게 하면 활물질에 고체 전해질 층이 균일하게 코팅된다. 고체 전해질을 코팅한 활물질의 대량 합성도 가능하다.
정 교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체 전해질은 용액에 잘 녹지 않아 코팅이 어려웠다”며 “전고체 리튬전지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