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훈련시스템 산업 발전 "공공 직무 교육에 도입·확산해야"

가상훈련 시스템을 직무교육에 활용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공공에서 가상훈련 시스템을 도입하면 직무 훈련 의무시간을 면제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가상훈련 시스템 산업 발전을 위해 표준화와 인증 작업도 시급하다.

Photo Image
산업통상자원부가 18일 서울산업진흥원에서 `가상훈련시스템 산업포럼` 성과 공유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AR/VR 및 가상훈련기술 세미나 발표 모습.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8일 서울산업진흥원에서 가상훈련시스템 산업 포럼 성과 공유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결과 발표회를 개최했다. 발표회는 산·학·연·관 융합 관계자 총 18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 1년 간 포럼 운영 활동과 내년도 계획을 논의했다.

김도승 목포대 교수는 ‘가상훈련시스템 법제 분석 연구 수행 결과’ 보고를 통해 가상훈련시스템의 공공 활용 촉진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가상훈련 시스템 산업 활성화를 위해 공공 영역 등에서 적극 활용하도록 제도 고안이 필요하다”며 “법률이 정하는 교육·훈련 특성을 사전 검토해 가능한 가상훈련시스템으로 교육을 이수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이 앞장서 가상훈련을 도입하면 교육 편의성, 훈련 안정성 등을 확보하고 관련 산업도 성장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다.

선진국에서는 공공을 중심으로 가상훈련 기술 개발과 시장 확대가 한창이다. 미국은 국방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가상훈련 적용을 확대한다. 미 국방성은 국방 전투 수행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 유럽도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위해 가상현실 기술 개발에 7억유로 이상 예산을 편성했다. 제조·의료 가상현실(VR) 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중국은 2007년 국영 가상세계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1만명 고용창출과 연간 10억달러 수익창출이 목표다.

우리도 가상 훈련 기술 연구개발(R&D) 작업이 한창이지만 산업 발전을 위한 걸림돌이 남아있다. 가상훈련 실재감·효과에 우려도 문제다. 기존 법·제도와 괴리로 시장 확산이 더딜 수 있다는 평가다. 의료·국방·제조·재난·안전·교육·레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시스템 표준화 체계와 인증 시스템도 마련해야한다. 류관희 충북대 교수는 “가상훈련 시스템 복잡도에 따라 여러 인증 세부 단계를 둬야한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포럼에서 도출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협력, 시범사업, 규제·애로사항 개선 등 실행 전략을 수립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가상훈련시스템의 사물인터넷(IoT) 활용방안, 스포츠 시뮬레이터 기술 동향 등 강연도 진행됐다. 가상훈련 산업과 포럼 발전에 기여한 전문가에게 감사패와 공로패도 수여했다.

산업부는 “가상훈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내용 공유뿐만 아니라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기업·기관 의견을 듣는 실질적인 소통의 자리였다”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