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RI, 메이플세미컨덕터에 SiC 전력반도체 기술 이전.... 전력반도체 분야 기술이전료 최대

Photo Image
KERI가 개발한 SiC 전력반도체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박경엽)은 메이플세미컨덕터(대표 박용포)와 14일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착수기술료 11억5500만원에 향후 추가로 매출액 대비 러닝 로열티를 받는 조건이다. 전력반도체 분야에서 기술 이전료로는 최대 규모다.

메이플세미컨덕터는 이전 기술을 제품으로 양산화하면 국내에서 500억원, 해외에서 1500억원 이상 연간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SiC 전력반도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억4600만달러(약 1670억원) 규모다. 오는 2020년에는 10억9500만달러(약 1조259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SiC 전력반도체는 물성이 좋아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전력을 덜 사용하고, 열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전기차에 적용하면 냉각 장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연비(에너지 효율)를 크게 올릴 수 있다.

Photo Image
기존 실리콘 반도체 웨이퍼(왼쪽)와 투명한 SiC전력반도체 웨이퍼(오른쪽)

SiC 응용 분야 중에서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등 자동차 적용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는 이유다. 2020년 자동차용 SiC 전력반도체 시장 규모는 2억71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토요타는 프리우스 3세대 모델에 SiC 전력반도체를 채택해 전체 연비를 5% 높였고, 5년 안에 연비를 10% 이상 높인 전기차를 양산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전력반도체 연구를 1990년대부터 시작했다. 하지만 세계 수준인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연구 환경은 열악했다.

Photo Image
전력반도체 패키지

KERI는 1999년 전력반도체연구센터를 설치하고 전력반도체 연구에 집중했다. 지난 10여년 간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지만 SiC 전력반도체 연구를 중단하지 않았고, 2012년 이후 미래부 지원으로 연 20억원씩 투입해 이번 기술이전 성과를 거뒀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