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연, 초고감도 분자 검출 기판 개발

Photo Image
재료연구소 분자감지소재 연구팀(왼쪽 두번째 김동호, 세번째 박성규 연구원)이 개발한 유해물질 검출 기판 소재를 들어 보이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각종 유해 물질과 성분을 쉽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먹거리 안전은 물론이고 방역 관리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박성규·김동호 재료연구소 표면기술연구본부 분자감지소재 연구팀(이하 박 연구팀)은 식품과 혈액, 하천과 바닷물, 실내 공기 등에 포함된 독소, 농약 등 미량 유해물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판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지금까지 유해 성분이나 물질의 확인은 해당 현장 시료를 채취해 실험실로 가져온 후 고성능 질량분석기 등 장비를 이용해 검사했다.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전문 인력도 필요하다.

박 연구팀이 개발한 기판을 이용하면 현장에서 누구나 손쉽게 검사할 수 있다.

박 연구팀은 먼저 은 나노 와이어 잉크를 유리 섬유 필터로 걸러내는 간단한 방식으로 은 나노 와이어를 고밀도로 집적화한 금속 나노 구조체 제조에 성공했다. 이 구조체로 기판을 만들면 기존 고가의 반도체 나노 공정으로 만든 기판보다 쉽고 빠른 생산이 가능하다.

이어 개발한 기판을 휴대형 라만 분석기에 접목했다. 이 라만 분석기는 농·수산물에 포함돼 있던 농약, 강물 속 독소, 산업 현장 유해 물질, 혈액 속 발암물질 등을 10억분의 1(ppb) 규모의 분자 하나까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김동호 연구원은 “현재 분석 검출기 시장은 프린터는 나와 있는데 종이 값이 너무 비싸서 쓸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상황과 비슷하다”며 “환경이나 식품 안전 분야에서 라만 기반 초고감도 분자검출기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박 연구팀은 현재 관련 특허 출원을 완료하고 실용화를 위한 후속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창원=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