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이 국제적인 지식재산권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19일 국제지식재산연수원에 따르면 한국의 선진 지재권 제도 및 행정을 배우기 위해 연수원을 방문하거나 교육을 요청하는 개발도상국이 크게 늘고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3/666074_20150319142128_919_0001.jpg)
대상 국가는 기존 동남아 국가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짐바브웨 등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올해만 하더라도 잠비아, 이란 등 8개 국가에서 교육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잠비아, 걸프협력기구특허청(GCCPO) 심사관이 지식재산연수원에서 교육을 받고 돌아갔다.
개도국 교육은 파견 개도국에서 항공비와 체재비를 부담하고, 연수원이 별도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자금 사정이 넉넉지 않은 개도국 스스로 비용을 부담해 교육을 받는다는 점에서 지식재산연수원의 인기를 가늠할 수 있다.
개도국 심사관이 배우려는 분야도 단순히 지재권 제도에 그치지 않고 기술 분야별 심사 실무, 지재권 창출 정책 등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화되는 추세다.
이처럼 개도국이 한국의 지재권 제도 및 행정을 적극적으로 배우려는 이유는 한국 특허청을 선진특허청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앞선 특허정보시스템과 풍부한 고급 심사인력의 고품질 심사 서비스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은 2006년 세계 최초로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공식 지재권 교육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WIPO와 공동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세미나’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변훈석 국제지식재산연수원장은 “한정된 예산으로 개도국의 교육 요청을 모두 수용할 수는 없으나 개도국 교육이 장기적 관점에서 우리 기업 지재권 보호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교육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