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민간 기술거래기관을 지정했지만 기관당 기술거래 실적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가치평가 실적은 늘고 있지만 실제 거래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평가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지난 4년간(2012년 말 기준) 산업기술 활동을 평가한 결과, 정부가 지정한 38개 민간 기술거래기관의 기술거래 실적은 기관당 예닐곱 건 수준이라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기술시장 저변을 확대하고 공신력 있는 기술거래·가치평가 시스템을 정착하기 위해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기술거래·가치평가 기관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2009년 라이선싱·매매·인수합병(M&A) 32개 기관이 189건의 거래실적을 보였다. 2010년 254건, 2011년 220건, 2012년 290건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지정된 거래기관도 함께 늘어난 만큼 기관당 거래실적에는 큰 차이가 없는 ‘정체’ 현상을 보이는 셈이다. 1개 기관의 평균 거래실적은 2009년 5.91건, 2010년 7.26건, 2011년 5.95건, 2012년 7.63건이다.
기술을 거래하기 위해 사전에 수행하는 기술 가치평가 실적은 급증했다. 정부가 지정한 10개 기술평가기관이 평가한 기술 건수는 2009년 242건에서 2012년 700건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기술보유자가 라이선싱이나 기술판매를 위해 가치평가 의뢰를 하지만 실제 거래에는 나서지 않는다는 의미다. 한 민간 기술거래기관 대표는 “기술 공급자가 생각하는 기술 가격과 수요자가 희망하는 가격 사이에 괴리가 너무 크다”며 “기술 공급자가 자기 기술에 애착을 가질 수 있지만 시장 상황과 사업화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술거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시장 인식 변화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기술거래사는 “아직까지 기업에 대한 투자나 M&A만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난다”며 “기업이 파산하거나 어려움을 겪어도 특허 등 기술 자체는 남아 수익화할 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