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창조적 가치를 키우자]4인4색 인터뷰-정해상 단국대 교수

Photo Image

“게임을 통해 인간의 다양하고 창조적인 능력을 개발해 사회문화 발전을 이루고 인간과 사회의 발전이 즐거운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면 이보다 더 신나는 일이 어디 있나요?”

정해상 단국대 법과대 교수는 게임을 바라는 부정적 사회 분위기가 어느 한쪽의 잘못이라기보다 놀이문화의 충돌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변화에 대한 이해부족을 원인으로 꼽았다.

정 교수는 교수사회도 비슷하다고 운을 뗐다.

그는 “포커나 고스톱을 즐기는 분들이 내가 컴퓨터 게임을 좋아한다고 하면 농땡이(?) 교수로 의심하고 중독 문제를 거론한다”며 “과거에 자신들이 친구들과 놀던 구슬치기나 동전치기가 지금은 온라인게임이나 모바일게임으로 바뀐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게임이 기본적으로 놀이란 점에서 자신에게는 관대하고 타인에게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본질적 특성을 지녔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과거 엄격한 교육과정에서 성공한 사회지도층, 자녀의 성공에 매달리는 학부모의 시각은 그 진지했던 추억에서 게임의 확산 자체를 부정적 시선으로 보게 된다”며 “하지만 그들도 방식은 다르지만 틈틈이 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게임 과몰입과 사행성 문제에 대해서도 기술 변화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고 평가했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게임이 쏟아지고,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접근이 쉬워졌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인터넷과 모바일을 없앨 수 없고, 게임을 재미없게 만들 수도 없고, 게임종류를 법으로 정해서 개발하도록 할 수도 없는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결국 부정적 영향을 받아들이고 최소화하려는 노력과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는 게 정 교수의 의견이다.

청소년 문제에 대해선 부모와 교육기관의 적극적인 역할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 시선의 원인을 우리 사회에 보이지 않게 뿌리내린 전체주의적 법의식을 꼽았다.

정 교수는 “법의식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윤리와 문화의 문제로 접근하지 않고 불법화하려고 한다”며 “이런 환경은 노는 문화산업인 게임을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되게 하고 산업성장의 토양을 척박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좀 더 자유로운 법의식을 가져야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게임이 만들어지고 규제 수준도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게임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조업이면서도 인문, 사회문화 등 광범위한 분야가 결합한 문화산업이라는 점에서 창조적 능력에 따라 세계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21세기 산업이라고 평가했다.

정 교수는 “문화다양성은 사회적 갈등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부정적 측면을 부각하여 과도하게 규제하면 어떤 산업도 성장할 수 없다”며 “이미 우리가 경험해 보았듯 영화, 음악 등 어떤 문화산업도 다양성을 규제하면 성장할 수 없고 문화산업은 쇠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정해상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나이: 54세

*즐겨하는 게임은?: 삼국지11, 스타크래프트

*취미: 낚시

*정교수에게 게임이란?: 마음의 놀이공원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