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컨소시엄, 새 정부 첫 항공IT융합혁신센터로 선정

항공산업에 IT를 융합한 항공IT산업 육성이 창조경제 구현 중점 사업으로 추진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컨소시엄(KAI,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한국산업시험기술원 등)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항공IT융합혁신센터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향후 2년간 40억원 규모의 정부 지원을 받아 국내 중소IT기업의 항공IT융합 기술개발과 상용화, 세계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게 된다.

IT융합혁신센터는 정부가 제조업에 IT를 접목한 융합 신산업 창출을 목표로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다. 현재 자동차(현대기아차), 건설(삼성물산), 섬유(코오롱글로텍), 조선(현대중공업) 분야에서 민간 컨소시엄이 4개 IT융합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업종의 IT융합 기술 개발은 물론 연관 중소기업의 매출 성장, 고용확대 부문에서도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항공IT융합혁신센터는 IT융합 기반의 창조경제를 강조해온 박근혜 정부의 첫 IT융합혁신센터다.

KAI는 그간 축적해 온 연구·개발 경험과 중소기업 상생협력 인프라를 활용해 항공 선진국 수준의 항공IT융합 제품 5개를 개발 상용화하고, 항공IT 전문 중소기업을 3개 이상 육성한다는 목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 관계자는 “항공IT 분야는 발전 가능성이 높고 빠른 산업화가 가능하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높아 새 정부 창조경제 구현에 적합하다”며 “소수 선진국 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항공IT융합 시장에 국내 중소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 말했다.


사천=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