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자연계 주름현상 원리 밝혀

국내 연구진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름의 발생 원리를 밝혀 관심을 모은다.

차국헌 서울대 교수, 이원보 서강대 교수 등이 공동 주도한 연구팀이 고분자 나노벽 한쪽 면에 알루미늄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자연계의 주름현상을 모방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자연계에는 여러 종류의 주름이 존재하며 이러한 주름현상은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응용·연구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박막의 주름연구는 막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예, 나노크기) 단단한 기판 위에 붙어있지 않으면 자유자재로 다루기에 매우 힘들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으로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고분자 벽을 바닥에 고정하고 한 면에만 알루미늄을 코팅해 주름 현상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야누스 나노벽은 알루미늄과 고분자의 부피팽창 반응으로 자연계에서 만들어지는 주름현상을 그대로 구현한다. 또 고분자 반응성이 없는 금을 코팅하면 주름이 생기는 대신 필름이 휘어지며, 알루미늄 나노벽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주름의 주기도 길어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차 교수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름의 구조화, 패턴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주름이라는 자연발생적 구조물을 파악하고 직접 제어할 수 있었다”며 “연꽃잎의 초소수성(물과 친하지 않는 성질) 등 생체와 자연계 모방기술 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